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12월 1일] 中企 경쟁력 인력개발에 달려

세계 주요20개국 정상들이 모여 세계경제의 지속 가능한 균형 성장을 논의하는 장인 G20 정상회의 개최와 관련해 국내외 언론에서는 반세기 전만 해도 전쟁의 폐허에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G7이 아닌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된 나라가 됐다고 말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차려놓은 잔치상만을 자화자찬 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 조직·기술적 원조 병행을 오늘날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21세기와 함께 불어닥친 정보기술의 발달과 세계화로 경영환경은 엄청난 속도로 바뀌어 나가고 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최고경영진들은 5년, 10년 뒤 기업 경쟁력의 원천을 설비자원의 투입보다는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양성을 통한 인적자원의 우위에서 찾고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이러한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활동을 지원하고 경쟁력을 갖춘 인력을 사회에 공급하기 위한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제도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례로 무역의존도가 200% 이상에 이르는 싱가포르 정부는 인적자원을 싱가포르의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고 인적자원의 개발과 고급화가 싱가포르의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안정 및 국제적 위상제고의 첩경이라고 여기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싱가포르 정부는 중소기업이 그들의 노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를 제공하며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고용 상태에서 개인의 훈련을 위한 추가적 보조금을 지불하는 것에서부터 퇴직 후 재훈련에 이르기까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 전체 사업체 수의 99%, 상시근로자 수의 88%를 차지해 경제규모나 고용 창출에 있어서 막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이른바 '9988'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현실은 어떠한가. 고용노동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근로자의 1인당 연간 교육훈련비는 평균 10만원 정도에 불과하며 보유한 기술ㆍ기능인력 가운데 무자격자가 82.2%에 이르는 등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에서 최근 고용부를 중심으로 중소기업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 지원이 점점 강화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 또한 점점 더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사업,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 사업,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HRD) 진단 및 컨설팅 사업 등과 같이 중소기업 근로자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은 그동안 일정부분 성공적인 성과를 거둬왔다. 그러나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필자는 이러한 정부의 재정적ㆍ제도적 지원 시책만으로는 중소기업의 교육훈련 촉진에 제한이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재정적ㆍ제도적 유인 이외에 관련 부처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조직적이고 기술적인 원조를 병행함으로써 중소기업 사업주의 교육훈련 투자 및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며 각 정부부처는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에 대한 처방적인 규정보다는 효과적인 진단과 자문을 통해 중소기업 스스로가 자생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기업·교육기관등도 힘 보태야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각 산업별로 요구되는 수요자 관점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공공,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Sector Council), 민간기업, 고등교육기관, 인적자원개발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국민소득 4만불 시대의 청사진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