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물연대 파업 첫날 물류대란 없었다

주말 서울광장 집회 이후가 더 문제<br>내주부터 도로점거등 투쟁강도 높일 가능성<br>비노조원 동참 적어 '찻잔속 태풍' 그칠수도

아직은 정상운행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11일 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 내 주차장에 컨테이너 수송용 화물차량이 줄지어 멈춰 서 있다. 하지만 비노조원의 동조가 없어 물류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부산=이성덕기자

화물연대의 11일 총파업(집단운송 거부) 돌입에도 불구하고 혼란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노조의 단계적 파업 전략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화물연대는 우선 이날 전국 지부별로 출정식을 갖고 비노조원에 대한 참여촉구 단계를 거쳐 13일 서울광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연 뒤 도로를 점거하는 식으로 강도를 높일 전략이다. 따라서 주말 서울 집회에서 경찰과 충돌할 경우 다음주부터 도로 점거 등 극단적인 투쟁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파업 첫날, “아직은 정상 운영”=이날 하루평균 반ㆍ출입 물동량이 4,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에 이르는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에는 오전 한때 제1터미널을 통과한 차량 숫자가 줄어드는 듯했으나 오전10시 이후 예전 수준을 회복했다. 평택항도 보통 때와 큰 차이 없이 컨테이너 차량들이 운행됐다. 이날 정오 현재 반입 344TEU, 반출 232TEU 등 576TEU의 컨테이너 화물이 반ㆍ출입됐다. 자동차전용부두의 작업도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자동차 수송용 차량 270대도 정상 운행됐다. 평택항의 한 관계자는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했으나 아직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오늘 하루 1,000TEU 이상의 컨테이너들이 반ㆍ출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광장 집회 이후가 문제=파업을 벌이고 있는 화물연대와 정부 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선 만큼 양측의 협상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13일 화물연대의 서울광장 집회가 예고된 가운데 정부는 강경 대응 의사를 밝히고 있어 충돌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대검찰청 공안부(노환균 검사장)는 화물연대는 노동조합이 아니라 개별 화물차주들로 구성된 단체이기 때문에 노동관계법상의 쟁의행위가 아니라 업무방해죄에 해당된다며 주동자 구속수사 등 엄정 대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날 대검은 집단운송 거부 관련 불법행위를 수사하라고 전국 검찰에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집단적인 운송거부 사태가 발생할 경우 화물연대 본부장을 비롯한 주요 간부를 체포하고 항만 봉쇄나 고속도로 점거 등 물류운송 장애를 유발한 핵심 주동자를 구속수사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도 차량을 이용한 집단적 교통방해의 경우에는 운전면허를 정지 또는 취소하고 집단행동에 참여한 화물차주에 대해서는 유가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운송 거부에 참여한 화물차주에 대해서는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미복귀자에 대해서는 형사처벌하거나 화물운송 자격을 취소할 예정이다. 이처럼 정부가 사용 가능한 모든 카드를 뽑아들면서 화물연대의 파업이 찻잔 속의 태풍으로 그칠 가능성도 점쳐진다. 특히 지난해 총파업 당시와 달리 비노조원의 지지가 약한 상태여서 장기파업이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지난해에 비해 투쟁환경이 열악해 오히려 더욱 극단적으로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