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건희회장 '메기론' 삼성전자 구했다

그룹안팎 "체질강화 경영철학 실적개선 기여"


이건희회장 '메기론' 삼성전자 구했다 그룹안팎 "체질강화 경영철학 실적개선 기여" 이규진 기자 sky@sed.co.kr 관련기사 • 삼성, 또 CEO 전격 교체 인사… 왜? • '삼성전자도 이런 실수를…' • 에스원 '돌발인사' 삼성 정기인사에 영향줄까 • 이건희회장 '메기론' 삼성전자 구했다 • 이름없는 삼성폰 최단시간 1000만대 신기록 • 삼성家 3세 지분 정리? • '깜짝 실적' 위기론 잠재운 삼성전자 • 삼성의 자동차 사업이 실패한 이유는? • 삼성SDI '꿈의 디스플레이' 열었다 • 세계 최고 섹시스타가 만든 삼성 휴대폰 화제 “이건희 회장이 집어넣은 ‘메기(위기론)’가 휘청거리던 삼성전자를 구했다.” 삼성전자가 그동안의 부진을 씻고 3ㆍ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경영성적표를 내놓자 이 회장의 경영철학인 ‘메기론’이 그룹 안팎에서 재조명을 받고 있다. ‘메기론’이란 미꾸라지를 키우는 논에 메기를 넣으면 미꾸라지들이 더 많이 먹고 더 열심히 움직여 살이 통통하게 찌고 건강해진다는 것. 지난 93년 이 회장이 신경영을 주창하면서 설파해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이 회장은 3월 초(투명경영보고대회)에도 “(지금처럼 진행되면) 5~6년 후 대혼란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으며 최근까지도 공ㆍ사석을 구분하지 않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삼성이) 비대해지고 느슨해졌다”며 긴장감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15일 “삼성전자가 3ㆍ4분기 ‘깜짝 실적’을 이룰 수 있었던 데는 그룹 전반에 걸쳐 시행 중인 체질강화 작업이 큰 기여를 했다”며 “특히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초유의 정전사고를 빨리 극복해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6월부터 그룹 차원의 체질개선 지침이 내려온 후 ▦3~5% 명예퇴직 ▦비용절감 ▦업무효율 강화 작업에 착수,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실제로 서울 태평로 본관 앞에 늘어서던 출근행렬은 출근시간인 오전8시 이전에 사라졌으며 수원ㆍ기흥 생산공장 역시 출근시간이 자연스레 10~20분씩 당겨졌다. 또 비대해진 사무조직의 군살을 제거하는 동시에 주요 부서의 전력을 강화하는 조직재배치를 단행, 업무효율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다. 특히 반도체ㆍLCD 생산라인의 생산성도 최소 10% 이상 높아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수원ㆍ기흥공장의 경우 생산직 근로자의 식대를 1,000원에서 2,000원으로 100% 인상하고 볼펜 등 소모품 사용을 줄이는 등 충격요법을 써 당시 논란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직접적인 위기상황 연출로 생산직 근로자들이 새롭게 정신무장을 하는 순기능을 낳았다는 게 삼성전자 측의 설명이다. 4대그룹 관계자는 “이번에도 이 회장의 메기론이 삼성그룹 조직에 탄력을 불어넣고 느슨해진 기장을 다잡는 데 성공했다”며 “위기의식을 불어넣어 외부 충격을 가하는 식으로 전개된 이 같은 조직쇄신이 3ㆍ4분기 실적개선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입력시간 : 2007/10/15 17:5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