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CRS은 전략이다] 포스코, 지역 문화공간 조성 활발

'사랑의 집짓기' 행사에 참가한 포스코 임직원들이 기왓장을 나르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포스코는 최근 잡코리아가 서울대 사회책임경영(CSR) 연구동아리와 함께 대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사회공헌활동을 가장 잘 할 것 같은 기업 1위로 선정됐다. 국내외에서 지속적인 사회공헌을 통한 기업이미지 쇄신 작업이 서서히 결실을 거두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 임직원들은 지난해 37만여 시간을 지역사회의 소외된 곳을 찾아 봉사활동을 펼쳤다. 전 직원의 89%가 봉사활동에 참여했으며 직원 한 사람 당 평균 21.7시간 동안 나눔 활동에 참여했다. 사내 봉사그룹만 400개에 육박한다. 해외법인인 포스코차이나와 포스코인디아에도 사회봉사그룹이 결성돼 있다. 임직원들의 봉사활동과 더불어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는 소외된 이웃을 위한 복지분야 지원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5개 출자사와 더불어 100억원을 이웃사랑 성금으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출연했다. 또 포항과 광양지역의 결식 노인과 장애인을 위해 직접 3곳에서 무료 급식소인 ‘나눔의 집’을 운영 중이다. 이 나눔의 집은 지난 2004년 개소한 이래 현재까지 45만명에게 식사를 제공했다. 매년 실시하는 ‘사랑의 헌혈 릴레이’에는 포스코를 비롯한 출자사와 외주 파트너사들이 잇달아 참가해 총 2,343명이 따뜻한 사랑을 나눴다. 포스코는 지역기반 시설 조성사업에도 활발히 나서고 있다. 포항에는 환호해맞이공원(300억원), 문화예술회관(57억원), 포항테크노파크(300억원) 등을 건설했으며, 광양에는 커뮤니티센터(300억원) 전남테크노파크(100억원) 등을 조성했다. 특히 지난 1980년 건립한 포항효자아트홀은 지난해 한 해 동안 17개 공연을 통해 2만3,000여명의 관람객을 유치했다. 광양백운아트홀 역시 지방에서 접하기 어려운 고품격 음악회 및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개최해 지난해 4만8,000여명의 관람객을 즐겁게 했다. 서울 포스코센터 아트리움은 서울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해 매월 1회 음악회를 개최하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성장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인도, 중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봉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인도제철소 건립 예정지인 오리사 주에 구순구개열(일명 언청이) 아동이 많은 점에 착안해 의료진을 파견해 23명에게 성형수술을 했으며, 포스코 대학생 봉사단 100명이 사랑의 집짓기로 널리 알려진 해비타트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중국에서는 포스코차이나가 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육용 기자재를 지원하는 활동, 재해지역 주민들을 위해 ‘사랑의 옷가지 보내기 운동’등을 전개했다. 회사 한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의 위상에 걸 맞는 사회책임경영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기업의 이미지를 바꾸고 임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