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과부, 자율고 18곳 추가 지정

전환학교 전국 43곳으로 늘어

일반계고와 자립형사립고(자사고) 18곳이 자율형사립고(자율고)로 전환돼 내년 3월 문을 연다. 이에 따라 자율고 전환 학교는 전국적으로 모두 43곳으로 늘게 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 상반기 공모한 자율고 사전협의 결과 최종 18개교를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자율고는 지난해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25개교가 지정돼 20곳은 지난 3월 문을 열었고 나머지 5곳은 내년 3월부터 자율고로 운영된다. 올해 새로 지정된 학교 가운데 일반고에서 자율고로 전환하는 학교는 휘문고ㆍ동양고ㆍ미림여고ㆍ선덕고ㆍ세화여고ㆍ용문고ㆍ양정고ㆍ장훈고(서울), 경신고ㆍ경일여고ㆍ대건고(대구), 숭덕고ㆍ보문고(광주), 대성고ㆍ서대전고(대전), 성신고(울산) 등 5개시 16개교다. 또 자사고 시범학교인 포항제철고(경북), 광양제철고(전남)는 자율고로 전환된다. 남고 9곳, 여고 4곳, 남녀공학 5곳이며 전남을 제외한 6개 시도는 평준화 지역이다. 자율고는 광역 시도 단위에서 일반고에 앞서 전기모집하며 정원의 20% 이상은 사회적 배려 대상자로 뽑아야 한다. 비평준화 지역은 필기고사 이외의 방식으로 학교가 자율적으로 전형을 하고 평준화 지역은 선지원 후추첨 또는 내신ㆍ면접을 반영한 추첨 방식 가운데 교육감이 선택한다. 교과부는 매년 또는 2년 단위로 학교 자체평가를 하고 5년 단위로 교육청 평가를 해 지정 연장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또 현재 지정 공모와 심사가 진행되고 있는 전북ㆍ인천ㆍ경기 지역 일반고와 특수목적고의 자율고 전환을 올 상반기 중으로 마무리하고 자사고 시범학교인 강원 민족사관고, 전북 상산고, 울산 현대청운고, 서울 하나고도 자율고로 바꿀지 협의할 예정이다. 구자문 교과부 학교제도기획과장은 "혁신도시ㆍ기업도시ㆍ경제자유구역 등에 입주한 기업이 단독 또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 내 자율고를 지원할 수 있게 하는 등 제도를 정비해 자율고를 점차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