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하이닉스 진로선택 카운트다운

해외매각이냐-독자생존이냐-법정관리냐'동의냐, 부결이냐'. 하이닉스반도체가 해외매각을 통해 새 주인을 찾을 지, 아니면 독자생존이나 법정관리로 갈 지를 결정하는 '운명의 시간'48시간이면 결정난다. 정부와 주요 채권은행들은 매각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적극적인 설득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매각조건 등에 따라 각 채권금융기관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누구도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2금융권 대표에 이어 29일 긴급 은행장 회의를 소집한 것도 이 같은 예측불허의 상황을 감안해 '표단속'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 채권단, 어떻게 의결하나 채권단은 우선 마이크론과의 양해각서(MOU)와 잔존법인의 구조조정 방안이 어차피 상호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을 들어 일괄적으로 처리하기로 했다. 하이니스 메모리부문의 매각과 신규자금 지원, 무담보채권의 50% 탕감 및 감자 등을 한꺼번에 묶어 의견을 묻는 방식이다. 이는 하이닉스 매각에는 찬성하되 잔존법인에 대한 부채탕감이나 감자 등에 반발하는 쪽에서 각각의 안건마다 엇갈린 의사를 보일 경우 상황이 더욱 복잡해 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 다른 부실 대기업의 처리에 보았듯이 이날 결론을 못내릴 수도 있다. 그럴 경우 30일까지 서면결의를 진행하면서 정부와 주요 채권은행이 개별적인 설득작업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무담보채권자 설득이 열쇠 외환은행이 26일 제시한 잔존법인 채무재조정 방안은 담보채권은 그대로 두고 무담보채권만 50% 탕감하고 재무건전성을 위해 13.5대의 감자를 실시하는 것이 골자다. 따라서 이번 매각안이 통과되려면 50% 탕감에다 각종 사후비용을 감안하면 채권을 한 푼도 건지지 못할 수도 있는 무담보채권자들을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열쇠다. 특히 무담보채권자면서 손실이 날 경우 손실분을 고객에게 전가해야 하는 투신사들의 동의를 얻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채권단은 일단 잔존법인의 생존가능성을 최대한 높이면 그만큼 손실이 줄어든다는 점을 논리로 내세우고 있다. 이덕훈 한빛은행장도 "투신권이 3~4년안에 50% 정도의 회수율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 동의 외에는 '대안없다'는게 중론 채권단 안팎에서는 그러나 투신권 등의 반발 등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막판 설득과정을 거쳐 매각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매각에 반대하는 채권금융기관들 입장에서도 만일 부결될 경우 별 대안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투신사들은 과거에도 부실 대기업 처리에 처음에는 반대하다 '정부압박'과 '대안부재론'에 말려 대개 막판에 찬성표를 던져 왔다. 은행권 역시 마찬가지다. 외환은행의 경우 이미 지난 26일 경영협의회를 통과했고 29일 개최할 이사회에서도 동의가 확실시 된다. 이번 협상을 주도했던 한빛은행은 동의를 안할 수 없는 입장이고 나머지 은행들도 대부분 찬성할 가능성이 높다. ◇ 부결되면 법정관리로 갈 듯 그러나 MOU에 대한 채권단 결의가 부결되면 하이닉스는 신규지원 등을 통해 독자생존에 나서거나 법정관리로 가야 한다. 채권단도 이미 이에 대한 비상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하지만 독자생존의 경우 채권단 역시 매우 유동적인 반도체산업의 특성 등을 들어 신규지원을 포함한 채무재조정을 거부할 것으로 보여 결국 최악의 경우 법정관리로 갈 가능성이 높다. 만일 하이닉스가 법정관리로 간다면 하이닉스와 협력업체들의 고용불안은 물론 신인도하락 등 국가경제에 큰 충격이 불가피하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법정관리로 갈 경우 그 부담은 고스란히 국민들이 지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구조조정의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 졸속매각을 추진한다는 지적하기에 앞서 이 같은 문제를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