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구제역 이어 폭염… 우유대란 우려

구제역·계절적 영향 겹쳐 우유공급 부족 심화<br> 초등학교 개학 이후 우유대란 가능성


구제역 여파에 폭염까지 겹치면서 젖소의 원유생산량이 급감해 오후에는 일부 지역에 있는 대형마트와 슈퍼에서 우유 사기가 쉽지 않다. 업계에서는 초등학교가 개학해 급식이 본격 이루어지는 9월에 ‘우유대란’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주요 할인점과 일선 슈퍼의 매장에서 판매용 우유가 모자라 오후에는 소비자들이 우유를 살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한 관계자는 “오전에 우유 매대에 상품을 진열해 놓고 다시 채워놓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오후가 되면 우유가 다 팔린 빈매대에 다른 제품을 놓고 판매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우유 공급 차질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4월까지 전국을 휩쓸었던 구제역 여파로 원유 생산량이 10~15% 감소한데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식욕이 떨어진 젖소들의 원유 생산량이 평소보다 5~10% 가량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20% 가깝게 생산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철이 되면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아이스 카페라테나 아이스 캐러멜 마키아토 등 우유가 많이 들어가는 찬 음료의 판매량이 늘어나는 것도 우유부족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나마 전국의 초등학교가 여름방학에 들어가 급식용으로 소요되는 우유를 일반 판매용으로 돌릴 수 있어 우유대란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마트의 한 관계자는 “방학으로 학교 급식용 물량이 마트 쪽으로 많이 들어왔다”면서 “이 물량으로 어느 정도 수급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국의 초등학교가 개학을 해 급식이 본격화하는 9월이 되면 심각한 우유 공급 부족 사태로 ‘우유대란’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서울우유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초등학교가 방학을 해 그나마 우유부족 현상이 이 정도 수준이지만 개학을 하는 9월이 되면 우유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구제역으로 유실된 원유 생산량 복구될 때까지 우유 수급 불안정은 계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단기간에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새끼 젖소가 태어나 원유를 생산할 수 있을 때 까지 적어도 2~3년 정도는 우유가 부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