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IT산업 3년만에 '마이너스 성장'

"고성장에 따른 조정으로 볼 수 있어… 크게 걱정할 단계 아냐"

지난 1.4분기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인 정보통신(IT) 업종이 3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부터 반도체 등 IT 관련제품의 국제가격 하락으로 수출 전선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국내 IT산업도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향후 경제에 미칠 영향이우려되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4분기 반도체, 통신기기, 컴퓨터 관련 서비스 등국내 IT산업의 국내총생산(GDP) 액수는 26조1천347억원으로 전분기(26조1천455억원)에 비해 0.04% 감소했다. IT산업 GDP가 전분기에 비해 감소세를 나타낸 것은 지난 2003년 1.4분기(-0.35%)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이는 같은 기간 비IT 산업의 GDP가 전분기에 비해 1.3% 증가한 것과는 대비되는것이다. 이로써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IT산업의 비중도 지난해 4.4분기 15.9%에서올 1.4분기 15.7%로 떨어졌다. 특히 제조업만 놓고 보면 IT 관련 제조업의 GDP가 전분기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분기 제조업 전체 성장률이 전기 대비 0.6%에 그친 것도 이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IT산업의 GDP가 전분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으나 작년동기에 비해서는 15% 증가해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에 IT산업의 성장률이 높은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몇년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추진력으로 여겨졌던 IT산업이 올들어경제성장에 전혀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자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 민간경제 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고성장에 따른 조정으로 볼 수도 있어 크게 걱정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도 "주력수출품인 IT제품의 국제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연초 국내생산도 주춤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향후 경제에 타격이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보통신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4월 IT산업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는 90으로 기준치인 100에 못미쳐 IT산업 경기가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