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후보들 "자금조달 힘드네"

선거보조금 절반으로 뚝…중앙당 지원 옛말<br>여유없는 지방선거 출마자들 대출 등 안간힘<br>18일부터 가능한 개별 후원회에 한가닥 기대<br>민노, 당원·노조 지지 뒷받침에 그나마 나아

강화된 선거법으로 5.31 지방선거에 나선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선거운동 자금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거법상 선거자금을 모을 수 있는 합법적 방법은 중앙선관위의 선거보조금과 캠프별 후원회, 후보자 개인의 자산 투입 등 세 가지 정도다. 그나마 정치자금법 개정으로 선거보조금이 예전에 비해 절반 이하로 떨어진데다 올해부터 중앙당 후원회가 폐지되면서 각 캠프별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따라 후보들은 지인과 금융기관을 최대한 동원해 자금을 차용하거나 18일부터 열 수 있는 후원회 모금에 희망을 걸고 있다. 후보들은 특히 후원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10만원을 내면 연말 정산때 11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연말정산 효과를 적극 알림으로써 일반 유권자의 `십시일반'을 유도하고 있다. 여당인 우리당 후보들의 경우 중앙당이 선관위로부터 받는 정당지원금 116억원을 가급적 일선캠프로 내려 보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각 캠프의 자금난이 심한 상황이다. 재산상태가 마이너스인 강금실 후보는 출마선언 후 이미 지인들로부터 급한대로 자금을 빌려쓴 데다 금융권의 추가대출 여력도 많지 않아 후원회에 기대를 걸고 있다. 강 후보측은 “서울지역 의원들이 3,000만원 이상씩 대출해주기로 한 만큼 10억원 가량이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럼에도 예정 선거비용 30억원에는 턱없이 모자란다”고 말했다. 4억원을 개인자격으로 대출받은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도 후원회를 통해 최소 5억원 이상을 모금해야만 선거비용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160억원 가량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진대제 경기지사 후보는 상대적으로 느긋한 상태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도 평소 지인들과 접촉을 넓히면서 기부를 요청하는 등 후원회 모금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자금난 걱정은 마찬가지. 오 후보측는 “법인 후원도 안되고 개인당 후원 한도액도 500만원이다 보니 자금마련이 녹록지 않다”며 “중앙당의 선거보조금에도 한 가닥 기대를 걸고 있지만 부족한 선거자금은 대출을 받든지 해야 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선거보조금이 나오긴 하지만 재정적 여건이 취약해 지역별 배분이 쉽지 않다”며 자금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박주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측도 “중앙당이 특별당비를 받지 않겠다고 한 만큼 중앙당에 기댈 수도 없는 실정”이라며 “후보의 개인 인맥을 활용해 후원금을 걷고 지출을 최소화하는 방안 외에 뾰족한 수가 없다”고 하소연했다. 결속력이 강한 8만명의 당원과, 각급 노조의 지지를 받고 있는 민주노동당은 어렵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정당보다 후원금 모금이 수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