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IT가 환자권리 찾아준다

2010년까지 의료정보 전국망 구축…중복검사 불편 사라질듯

분당 서울대병원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노트북 카트를 이용, 회진을 하고 있다.

오는 2010년경에는 의료정보네트워크가 전국적으로 구축돼 의료분쟁 및 진료비 과다청구 등 병원 진료와 관련한 문제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기존에 의사의 수기(手記)에 의존했던 진료기록들이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으로 대체돼 진료 행위와 관련된 자료가 투명하고, 영구적으로 보존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병원을 옮길 때 마다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하는 불편과 낭비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정욱 서울대학교의과대학 병리과 교수는 9일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표준화 및 병원간 네트워크 구축을 포함한 EHR사업이 올해부터 국책사업으로 선정돼, 분당 서울대병원 주관으로 본격 진행된다고 밝혔다. 서교수는 이와 관련 “국내표준 전자의무기록 개발을 위해 향후 6년간 연구진 205명과 사업비 140억원을 배정받아, EHR 구축사업에 돌입했다”고 밝히고 “빠르면 2년 후인 2006년 시스템의 시험가동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교수는 또 “전자의무기록이 표준화되면 환자들은 병원을 옮겨 다닐 때 마다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하는 불편이 사라지고 이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병원 또는 의사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진료행위가 환자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은 분당 서울대병원, 연세의료원, 계명대 동산의료원 등이며, 향후 6년간 국가에서 90억원, LG CNSㆍ KTㆍ 안철수연구소ㆍ이지케어텍 등 9개 민간기업에서 50억원 등 총 14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EHR사업 세부과제 연구책임자인 하규섭 신경정신과 교수는“일부에서는 의료정보화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의료행위와 IT의 융합은 이미 대세”라며 “전자건강기록의 확산은 물론 국제 표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