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재무구조·영업실적 개선 효과 없어

"신규사업 진출" 투자자금 유치 상장사들<br>41개사 중 자본잠식 13곳… 횡령도 6개사 달해

상당수 상장 기업이 신규 사업 진출을 핑계로 거액의 투자자금을 끌어모았으나 재무구조나 영업실적 개선에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사업 진출에 필요한 자금을 공모증자 방식으로 조달한 41개사(유가증권 5개, 코스닥 36개) 가운데 13개사가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3·4분기 말까지 누적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회사도 29개사에 달해 투자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이들 41개사는 신규 사업을 목적으로 총 5,363억원을 공모증자 방식으로 조달했다. 특히 공모 직전 사업연도인 지난 2007년의 경우 조사 대상 회사 대부분이 영업실적 및 재무구조가 부실해 코스닥기업은 36개사 가운데 31개사(86%)가 순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공모 이후 6개사에서 횡령 혐의가 발생했고 12개사가 상장폐지되거나 퇴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상당수 기업이 신규 사업 진출을 핑계로 투자자에게서 공모자금을 끌어모았으나 실제 사업에 사용하지 않거나 경영진의 횡령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인 셈이다. 실제로 코스닥 A기업은 태양광발전사업에 진출한다며 지난해 3월 90억원을 공모했으나 실제로는 바이오사업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다른 코스닥기업 B사는 석탄유통사업 진출을 목적으로 115억원을 모집했으나 올해 1월에 117억원의 횡령 공시가 나오기도 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부실 상장사는 신규 사업 진출 진행상황을 정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투자시 주의해야 한다"며 "앞으로 신규 사업 추진 목적의 증권신고서에 대한 심사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