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9월18일] 1873년 미국 주가 대폭락


‘농담이겠지!’ 1873년 9월18일, ‘제이쿡은행 파산’ 공시에 대한 반응이다. 그럴 만했다. 돈이 없어 쩔쩔매던 링컨 행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분할 판매해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끈 미국 최대 은행이었으니까. 제이쿡은행의 파산을 외치며 신문을 팔던 소년이 ‘유언비어 유포’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지만 파산은 분명한 사실. 새로운 대륙횡단철도를 건설하려던 노던퍼시픽 철도에 대한 과다한 투자가 화근이었다. 마침 유럽을 휩쓸었던 은행 연쇄부도와 겹쳐 세계 경제가 동시에 수렁으로 빠져들었다. 당대의 유대계 재산가 로스차일드 가문은 ‘전세계가 하나의 도시로 바뀌었다’고 한탄했다. 미국에서는 뉴욕 증권거래소가 개장 이래 처음으로 열흘간 휴장하고 연말까지 57개 거래소 회원증권사를 포함한 5,000개 기업이 문을 닫았다. 극심한 공황에서도 미국 자본주의는 두 가지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렸다. 첫째는 체질 강화. 한계기업이 정리되면서 기업들의 경쟁력이 강해졌다. 카네기와 록펠러ㆍ모건 등 독점자본가들도 이때 나타났다. 둘째는 산업자본의 자국화. 유럽 투자자들이 보유 주식을 헐값에 내던지는 바람에 주가가 더 빠졌지만 35%에 이르던 외국자본의 철도산업 평균 지분이 10%로 내려앉았다. 유럽인들은 수익을 한푼도 못 건진 채 광대한 미국 철도망만 건설해준 꼴이 돼버렸다. 공황이 마무리되던 1880년대부터 유럽 자본은 다시 들어와 미국인들의 주머니를 불려줬다. 일본인들이 록펠러센터 등 부동산을 최고 가격에 매입한 뒤 헐값에 팔아 미국인들에게 막대한 차익을 안겨줬던 1980년대의 상황과 비슷하다. 자기들이 망해도 돈 벌고 경제위기를 맞은 나라에 가서도 돈 버는 미국 자본을 무섭다고 할까, 부럽다고 해야 할까. 론스타 사태도 오래갈 것 같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