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난해 전국 성 평등지수 52.5점…전년보다 소폭 올라

여가부'지역별 성 평등 수준분석 연구'

지난해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평균 성 평등 지수가 전년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장관 조윤선)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2013년 지역별 성 평등 수준 분석 연구(2012년 기준)’에 따르면, 완전히 성 평등한 상태를 100점으로 놓고 봤을 때 지역 성 평등지수가 52.5점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2011년의 51.7점에서 0.8점 상승한 수치다. 2007년(51.2점) 이후 2009년(50.6점)까지 계속 하락했던 지수는 2010년(50.9점)부터 반등해 작년까지 연이어 상승했다고 여가부는 설명했다.


지역별 성 평등 지수는 대표성 제고(5급 이상 공무원 성비 등)·경제 참여와 기회·가정과 안전한 삶·복지 등 4개 영역, 16개 세부 지표로 시도별 성 평등 정책의 효과와 성 평등 수준을 종합해 산출한다. 영역별로 보면 복지영역이 76.1점으로 지수가 가장 높았고, 경제참여와 기회(54.7점), 가정과 안전한 삶(54점)이 뒤를 이었다. 대표성 제고 영역은 14.6점으로 가장 저조했다. 2008년과 비교하면 4개 영역 모두 성 평등 수준이 개선됐으며, 특히 복지 부문 상승 폭이 2.8점으로 가장 컸다.

관련기사



16개 시도별 점수는 50.3∼55.9점에 분포했다. 서울·대전·강원·제주가 상위 지역에 올랐고, 대구·광주·경남·충북이 하위 지역에 머물렀다.

서울이 대표성 제고와 복지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경제참여와 기회에서는 강원이, 가정과 안전한 삶에서는 전남이 가장 성 평등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대표성 제고는 특별·광역시가, 가정과 안전한 삶은 도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성 평등 실현에 큰 관심을 두고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별 종합 점수와 순위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