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면산 산사태 복구 작업이 일단락됐다. 서울시는 원인조사 미흡, 잘못된 설계 등 복구 과정에서 제기된 지적에 대해 '문제 없다' '최선의 선택'이라는 입장을 강조했지만 논란은 쉽게 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기존 원인 조사에 대한 지역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이의를 받아들여 올 11월까지 추가ㆍ보완 조사를 실시한다.
서울시는 우면산 산사태 복구 공사 진행률이 96%를 기록, 이달 중 대부분 공사가 마무리된다고 30일 밝혔다. 전체 4개 공사지역 가운데 가장 진행속도가 느린 제4공구(송동마을 지역, 공정율 90%)도 이달까지 주요구조물 설치가 끝난다. 작업 인력 부족으로 지연된 우면산 주변 배수로 정비도 오는 6월10일께 완공을 앞두고 있어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기 전 복구 작업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약 8개월간(겨울철 공사 중단) 진행된 우면산 복구공사를 통해 산사태를 방지하는 사방댐 25개와 6㎞에 걸친 돌수로가 만들어졌으며 골막이(589개)ㆍ보막이(43개)ㆍ침사지(23개) 등도 설치됐다. 이 시설들은 각각 흙이 유출되는 것을 막거나 쏟아진 흙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번 공사에는 420억원이 소요됐고 연인원 4만2,000명, 장비 1만2,420대가 동원됐다.
시는 우면산 복구와 함께 서울시내 37개 산의 210개 위험지역에 대한 산사태 예방사업도 올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우면산 복구 과정 중 제기된 지적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에 나섰다. 우선 지난해 7~11월 진행된 한국지반공학회의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에 대해 지역주민과 전문가ㆍ시민단체 등이 재조사를 요청함에 따라 올 11월까지 6개월간 추가ㆍ보완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정확한 원인조사 없이 복구부터 시작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올 우기 전 완공을 위해 복구공사와 원인조사를 동시에 실시했다고 강조했다. 복구 설계ㆍ시공을 모두 산림조합에 수의계약형식으로 맡겨 특혜를 준 게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서는 업계 현실과 법적 근거, 복구의 시급성에 따른 최선의 선택임을 밝혔다.
김병하 시 도시안전실장은 "주민 안전을 확보하는 데 가장 중점을 두고 공사를 진행했다" 고 설명했다.
우면산 복구 과정에 대한 문제제기에 앞장서 온 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는 이날 서울시 우면산 복구관련 발표와 별개로 기자들과 만나 "원인 파악이 제대로 안돼 과도한 예산이 투입된 필요 이상의 공사"라며 "공사와 이해관계가 없는 외국 전문가에 의한 원인 규명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7월27일 오전7시49분께 집중 호우로 우면산에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16명이 숨지고 50명이 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