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6월 25일] 부작용 우려되는 카드업계 과열경쟁

신용카드 업계의 무분별한 외형경쟁이 재연돼 소비거품 조장 및 카드사들의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길거리 모집, 과다한 사은품 지급, 무이자 할부 확대 등 신규고객 확대를 위한 영업활동이 출혈경쟁 양상으로 나타나 경영부실이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3년 금융불안을 불러온 카드대란이 업계의 묻지마식 회원모집 등 과열경쟁에 따른 부실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카드업계 과열경쟁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카드대란 직전 1억481만장이던 카드발급 숫자는 지난해 말 8,957만장으로 줄었다가 지난 3월 말 현재 9,067만장으로 다시 늘어났다. 카드업계의 과열경쟁은 모집인 수와 영업활동에서 잘 드러난다. 5월 말 현재 모집인은 3만6,765명으로 카드대란 당시 1만7,021명의 2배나 된다. 모집인이 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영업활동도 변칙과 편법이 성행하고 있다. 사실상 무자격자에게 카드를 발급하거나 놀이공원 등에서 이벤트로 포장한 가두발급, 무이자 할부 확대 등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무이자 할부의 경우 2~3개월은 이제 보편화됐고 8~10개월까지 등장했다. 그러다 보니 영업비용은 크게 늘고 순익은 줄어들어 카드사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1ㆍ4분기 비씨ㆍ신한ㆍ삼성ㆍ현대ㆍ롯데 등 5개 카드사의 영업비용은 2조4,97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1.0%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6,358억원으로 43.4%나 감소했다. 다행인 것은 연체율이 3%대로 높지 않다는 점이다. 카드업계가 과거와 같은 신용대란 발생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하반기 이후 경기침체 국면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마냥 장담할 수만은 없다. 민간경제연구소는 물론이고 한은에서도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3%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다. 경기하강은 연체율 급증으로 이어지고 카드사 부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그런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고 시장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응책을 미리 강구해야 한다. 무엇보다 카드사들은 무분별한 카드 발급 중단 등 과열경쟁을 자제해야 한다. 감독당국의 카드사 불법행위 감시 강화 등 예방조치도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