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아이토피아/6월호] 휴대폰·디카·PMP 등 "우리는 여름이 싫어요"

디지털기기 물·고온과는 상극… 장마·피서 때 주의를<br>물놀이 사진 찍으려면 방수케이스 사용해야 안심<br>직사광선 내리쬐는 차안에 전자제품 두지 말아야<br>휴가후엔 신문지·방습제 등 이용 습기제거 신경을

[아이토피아/6월호] 휴대폰·디카·PMP 등 "우리는 여름이 싫어요" 디지털기기 물·고온과는 상극… 장마·피서 때 주의를물놀이 사진 찍으려면 방수케이스 사용해야 안심직사광선 내리쬐는 차안에 전자제품 두지 말아야휴가후엔 신문지·방습제 등 이용 습기제거 신경을 정보산업부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다. 하지만 7월 중순께면 장마도 끝난다. 그 때부터는 본격적인 방학과 휴가 시즌이다. 여름이 즐거운 것은 다람쥐 쳇바퀴 돌듯 똑같이 되풀이되는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어른들은 어른들대로 ‘추억 만들기’에 더할 수 없이 좋은 때다. 여름철을 맞아 디지털 기기를 잘 활용하면 기쁨은 두 배로 늘어나는 대신 고통은 반으로 줄어든다. 낯선 피서지를 찾아갈 때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면 휴가철이면 되풀이되는 교통체증을 피할 수 있다. 즐거운 피서지에서의 추억을 디지털 카메라에 담은 후 포토프린터로 출력하면 평생토록 추억을 간직할 수 있다. 야외 나들이가 어려운 장마철에는 집에서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것도 색다른 재미를 준다. 하지만 휴대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기와 여름은 상극이다. 장마철의 습기와 한여름의 고온은 디지털 기기를 순식간에 망가뜨리기 쉽다. 그래서 습기나 고온에 대비해 적절한 관리에 신경을 쓰되 가능하다면 방수용 제품을 활용하는 게 좋다. ◇물은 디지털 기기의 천적=디지털 기기의 고장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물’이다. 물 속에 떨어뜨리는 것 못지않게 습기도 위험하다. 전문가들은 “물이 스며들 상황이라면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아예 꺼내놓지 말고, 특히 바닷가에서는 방수팩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디지털카메라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고 권고한다. 물이 튈만한 곳이라면 전자제품을 사용치 않는 게 바람직하다. 급한 전화를 기다리거나 물놀이 사진을 찍고 싶다면 전용 방수 케이스를 이용하는 게 현명한 방법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가방에 방습제를 넣어 보관하는 것도 좋다. 특히 바닷물은 피하는 게 상책이다. 물에 젖자마자 염분 때문에 기판 등 부품이 부식하기 때문이다. 제품이 물에 빠지면 전원을 켜지 말고 배터리를 제거한 후 애프터서비스(A/S)를 받아야 한다. 바닷물에 빠졌을 경우라면 염분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먼저 맑은 물로 제품을 씻어줘야 한다. 바닷가의 모래도 염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모래가 제품 틈새로 들어가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손상을 주기도 한다. ◇자동차 안에 전자제품은 놓고 내리지 마세요=자동차 안에 전자제품을 놓아 두지 말아야 한다. 제품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도난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보통 디지털 기기의 내열(耐熱) 한도는 섭씨 50~60도 정도다. 하지만 직사광선이 내리쬘 경우 차 안의 온도는 섭씨 100도 가까이로 치솟는다. 제품의 내열한도를 넘어서기 때문에 고장이 나기 쉬울 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폭발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비정품 배터리의 경우 폭발 위험이 훨씬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 내비게이션 제품이 아니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나 개인휴대단말기(PDA)를 내비게이션 겸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차 안에 두지 않는 게 좋다. 차량 전용 제품은 내열한도가 일반 디지털 기기보다 높지만 일반 PMP나 PDA는 차량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LCD나 하드디스크 등이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차 안에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 기기를 놓아 두면 도난 당할 우려가 높다. 여름철 피서지에서는 야외에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휴가를 마치면 제품 습기 먼저 제거 해야=장마 또는 집중 호우 때는 집 안에 있는 제품도 안심할 수 없다. 특히 집중호우 때 동반되는 벼락은 PC고장의 주범이다. 벼락은 통신선이나 전압선을 타고 모뎀이나 전원공급장치로 흘러 들어가 메인보드와 주변기기 손상을 가져온다. 장마철에 집을 오래 비워둘 생각이라면 통신선과 전원을 뽑아 두는 게 좋다. 집에 습기가 많아도 가전기기나 PC가 고장을 일으킨다. 장마철에는 하루에 20분 정도는 PC를 켜서 습기를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뜨리는 게 좋다. 집이 물에 잠겼다면 가전제품을 켜서는 안 된다. 젖은 제품에 전원이 들어오면 기기 안에 전기가 흘러 제품이 고장을 일으킬 뿐 아니라 감전 위험이 높다. 따라서 침수 사고가 나면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가능한 빨리 A/S센터에 맡겨야 한다. 장마철에 디카 등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사용했다면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신문지로 싸두는 게 좋다. 습기를 제거해 고장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디카의 경우 카메라 가방에 방습제를 넣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생활방수 기능이 뛰어난 제품을 사용하면 습기로 인한 고장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생활방수 제품은 물속 깊이 들어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얕은 물에 빠지거나 비가 오는 날에 사용하더라고 큰 무리가 없다. 일부 디카의 경우 방수케이스를 별도로 판매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피서지에서 멋진 수중 사진도 만들어 낼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에는 방수 키보드를 탑재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의 경우 별도의 방수케이스는 없지만 플라스틱 케이스 등을 이용하면 고장에 대한 우려를 덜어줄 수 있다. 입력시간 : 2006/06/26 13: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