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3월 5일부터 17일까지 앞으로 중국 거시 경제 정책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가 열렸다. 올해 목표 GDP성장률은 7.5%, 물가상승률 3.5%, 재정적자 규모 1조2,000억위안으로 정했다. 중국 정부는 도시 신규취업자 수도 900만명 이상으로 늘여 도시 실업률을 4.6% 이하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지출과 내수 확대를 통해 중국 경제의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포부를 밝힌 셈이다.
전인대에서 내수소비 확대 의지는 돋보였다. 내수확대 의지는 증가한 재정적자 목표치와 도시 신규취업자 수 확대에서 드러난다. 올해 재정적자 목표치는 지난해 8,000억 위안 규모에서 50% 증가한 1조2,000억원으로 결정됐다. 원자바오 총리는 정부공작보고에서 정부지출 확대 속 세제개편을 통한 감세정책을 전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상규 BS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제성장에 있어 정부부문의 역할 유지와 감세에 따른 세입 축소가 재정적자 확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른 가계의 가처분 소득 증가는 민간소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인대에서 밝힌 신규 도시 신규취업자수 900만명 이상 증가 목표는 18차 당대회에서 밝힌 중국의 정책적 임금인상과 함께 중국 내수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밖에 조건부 2자녀 출산 허용, 내륙도시 개발계획 지속, 빈부격차해소 등 중국 내수 확대 정책은 오리온에 중장기적으로 호재다. 오리온은 중국 내에서 파이와 껌 위주의 카테고리를 스낵과 비스킷으로 확장하고 유통채널과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차재헌 동부증권 연구원은 "오리온은 중국 파이 시장에서 36.3%의 점유율로 1위, 껌시장에서는 리글리(Wrigley)에 이어 2위"라면서 "스낵 점유율은 9.6%, 비스킷 점유율은 5.5%로 다소 낮지만 고래밥ㆍ오감자ㆍ초코송이 등 소수 파워브랜드의 성장이 빠른데다 중국 내 스낵, 비스킷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의 경쟁자가 없다는 점에서 오리온의 급부상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백운목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오리온은 베이징과 칭따오 지역에서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래 유통채널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상하이와 광저우 등 신규 지역에서는 대형 유통채널에 집중하면서 매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생산라인 증설과 재래 유통채널 매출 기여도가 높아지는 것도 오리온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한국희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리온은 2015년까지 중국 생산라인 수를 현재 대비 약 41% 증가시킬 예정이어서 30%대의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며 기업형 유통채널보다 5%포인트 정도 이익률이 높은 재래 유통채널 매출 기여도가 현재 30%에서 2015년까지 50%로 확대 될 것으로 예상돼 중국 사업 영업이익률은 15.9%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비제과 부문 사업의 악재도 대부분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실적이 부진했던 이유 중 중요한 요인은 건설부문에서 자회사인 메가마크 미분양 물량의 대손상각에 따른 종속기업투자주식 손상차손(428억원) 때문이었다. 우성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메가마크 미분양 물량 600억원(20채) 중 지난해까지 총 500억원(17채)이 상각됐고 남은 미분양 물량 100억원(3채)는 1~2년 내로 상각 가능성이 있으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분양이 되면 이익으로 환입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는 스포츠토토의 부진으로 영업이익에 큰 타격을 받았지만 앞으로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조현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스포츠 토토와의 계약은 내년에 끝난다"며 "건설부문과 스포츠 토토 부문이 정리가 되면 손실을 다 떨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성장세 지속따라 제과 수요 늘어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