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8월 26일] 지역감정으로 번진 'KTX 김천역'

“엄연히 경북 구미시와는 관련이 없는데 왜 김천ㆍ구미역으로 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김천시) “당초 정부 기본안도 그렇지만 기본계획변경안을 내면서 구미라는 명칭을 넣기로 하고 지방비를 김천시보다 많이 부담하기로 했는데 이제 와서 김천역으로 한다는 것은 말도 안됩니다. 당연히 김천ㆍ구미역으로 해야합니다.”(구미시) 경북 김천시 남면 신촌리에 건립될 예정인 KTX 경부선 중간정차역 명칭을 두고 김천시와 구미시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번 사태의 단초는 주관 부처인 국토해양부가 제공했다. 시행청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8일 기공식을 앞두고 지난 19일부터 ‘KTX 김천역사 건립 기공식’으로 명명해 초청장을 각계에 발송했다. 이에 구미시가 반발하며 건립비로 제공하기로 했던 지방비 21억원을 보조해 줄 수 없다는 격한 반응을 드러냈다. 김천시 역시 구미시 보조금은 필요 없고 구미산업단지를 구미ㆍ김천공단으로 이름을 붙이자고 요구하면 수긍하겠느냐고 역공을 펴는 등 지역 주민들간의 지역감정까지 격화되고 있다. 20일에는 구미출신 국회의원들과 시장, 지방의원들까지 총동원돼 국토부와 철도시설공단을 항의 방문하자 철도시설공단이 ‘김천ㆍ구미역사 건립기공식’으로 명칭을 변경해 초청장을 다시 발송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혼선을 빚었다. 이에 질세라 김천시도 시장과 시의원이 21일 국토해양부에 항의 방문, “김천만 써야 한다”는 등의 주장을 폈다. 그러나 25일 현재까지 초청장은 재발송되지 않았다. 당초 정부는 2003년 중간정차역으로 김천ㆍ구미역을 설치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관보에도 김천ㆍ구미역으로 공고된 바 있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역사건립 발표 후 김천시민 일부가 구미가 들어가는 것은 명분이 없다며 반발을 보이기도 했다. 국토부도 이를 우려해 기공식에서는 슬쩍 김천역으로 표시한 것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양 도시간 감정만 악화시켰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국토부측은 “담당자의 업무 착오였고 또 행사명칭에 지나지 않으며 역사명칭은 개통 5개월 전쯤에 최종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혀 앞으로 논란은 시간을 두고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그러나 어느 한 쪽의 불만때문에 행사명칭을 슬쩍 변경했다가 반발만 자초해 조롱 받고 일관성도 결여해 정부정책의 불신만 가중시켰다는 비난은 면하기 어려워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