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 약세를 용인한 서방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의 `두바이 발(發)` 환율 성명이 전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하고 있다.미국 유럽 등 선진국 증시와 채권시장은 22일 급격한 하향곡선을 그렸고, 아시아 증시는 22일 크게 요동친 뒤 23일 가까스로 안정을 되찾았다.
22일 미 나스닥 종합지수는 31.23포인트(1.64%) 내린 1,874.47로 마감됐고 다우존스 평균지수는 109.41포인트(1.13%) 하락한 9,535.41로 장을 마쳤다. 10년 만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이 0.06% 포인트 오르는 등 채권 가격도 크게 떨어졌다. 런던 증시의 FTSE 100지수는 0.7% 떨어졌고, 독일과 프랑스의 주가는 이보다 낙폭이 더 커 각각 3%와 2.7%를 기록했다.
이 같은 반응은 달러가 평가절하될 경우 달러 표시 금융자산의 가치가 동반 하락할 것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 매각에 나섰기 때문이다.
반면 각국의 달러 대비 환율은 급격한 하락세(평가절상)를 보여 수출을 통한 경기회복 희망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이 앞 다퉈 폭락 가능성이 높은 달러화 매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20일 달러 당 114엔에 거래됐던 엔화 환율은 이날 112.11엔으로 마감됐고, 유로화 환율은 달러 당 1.1474에서 1.1361유로로 내렸다. 대만 달러 환율도 달러 당 34.058에서 33.805로 떨어졌다.
금융시장의 요동을 막기 위해 존 스노 미 재무장관이 G7 선언 직후 “강한 달러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투자자를 안심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투자자들은 이번 선언이 내년 대선을 앞둔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수출촉진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강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번 선언은 1985년 `플라자 합의`의 재판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각국 통화의 평가절상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당시 미국은 플라자 합의를 통해 장기간 저 달러 정책을 폄으로써 엔화 환율을 1년 6개월 만에 달러 당 231엔에서 154엔으로 떨어 뜨렸다.
하지만 이번 성명은 정작 미국의 최대 적자국인 중국 위안화 환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채 한국 일본 대만 등에 유탄을 날린 꼴이 됐다. 위안화 환율을 달러화에 고정시킨 중국은 저 달러 정책에 무임승차하는 득을 보게 된 것이다.
위안화 평가절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중국 생산시설 이전 등에 따른 한국의 산업공동화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 가중될 미국의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과 그 결과가 한국경제에 직접적인 변수로 등장하게 됐다.
<배연해 기자 seapower@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