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속철도 개통으로 유동인구 수도권에 집중될 것”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지방의 유동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7일 `전국이 3시간, 고속철도 시대의 개막`이란 보고서를 통해 고속철도 요금과 출근시간대, 고속철도 수송능력 등을 감안할 때 서울 거주자가 천안, 아산이나 대전으로 주거지를 옮기고 서울로 출퇴근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고속철도가 일종의 `빨대` 역할을 하면서 문화시설, 상업시설, 교육기관 등을 이용하려는 지방의 유동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장기적으로는 수도권 범위가 충청권 북부로 확장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지속적인 택지개발사업이 고속철도 개통과 맞물려 도시의 연담화(몇 개의 도시가 연속해 일체화ㆍ광역화되는 현상)가 가속화되고 충청권 북부의 서울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고속철도 정차역이 위치한 곳으로 주변 도시의 경제활동이 집중되면서 정차역이 없는 지역과의 지역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한 만큼 이제부터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가칭 `고속철도 역세권 특구`를 지정하고 정차역 역세권을 지역경제의 핵심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속철도와의 연계 교통망을 조기에 정비해 고속철도 이용률을 높이는 한편 여분의 교통시설과 장비를 물류개선에 투입하는 등 고속철도 개통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