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역세권개발 부도 위기

코레일, 미래청산자금 3,000억 담보제공 거부<br>자금난 해결 묘책 없어


코레일이 롯데관광개발 등 민간출자사가 제안한 미래청산자금 3,000억여원의 담보제공을 사실상 거부했다. 이에 따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자금조달이 불투명해져 용산역세권개발㈜의 부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코레일은 용산역세권개발㈜의 자산담보부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위해 지난 28일 민간출자사들이 제안한 미래청산자금의 담보 제공 요구를 사실상 거부하는 입장을 30일 밝혔다.


코레일 관계자는 이날 “내부적으로 불가 방침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드림허브가) 코레일에 반환해야 하는 랜드마크빌딩 계약금 4,342억원의 담보를 확보하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반환동의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코레일 관계자는 “반환확약서 제공은 드림허브 이사회에서 통과되더라도 코레일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청산이 되면 손해를 볼 것이 뻔한 상황에서 담보 제공에 동의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코레일이 반환확약서 제공을 거부함으로써 부도위기에 몰린 용산역세권개발의 자금난을 해결할 수 있는 묘책은 없어 보인다. 이미 30개 출자사 대부분이 추가 자금을 부담할 여력이 없는데다 ‘최후의 방안’으로 제시된 ABCP 발행을 위한 코레일의 담보 제공도 강제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한 출자사 관계자는 “대주주가 나서서 사업성이 없다고 하는 마당에 추가자금을 투입할 기업은 없다”며 “자금 여력이 있는 출자사도 추가자금 투입을 망설이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담보 제공자인 코레일의 동의가 없다면 추가 자금 마련은 불가능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개발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자금조달 방식은 보통 상황이 어려운 개발사업에서는 사용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코레일이 반환확약서 제공을 거부한다면 이를 강제할 방법도 없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junpark@sed.co.kr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