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행자부 인사쇄신대상 19명 선정

3개월간 재교육·카운슬링…他부처에도 영향 미칠듯


행정자치부가 중앙부처 가운데 처음으로 19명을 ‘인사쇄신 대상자’로 선정, 이달부터 3개월간 재교육 및 카운슬링에 들어간다.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무능ㆍ태만 공무원 퇴출제’를 도입한 가운데 공무원 조직을 관장하는 행자부가 인사쇄신 작업에 들어감에 따라 다른 부처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양식 행자부 1차관은 12일 “본부 직원 890명과 정부청사관리소ㆍ국가기록원 등 5개 소속기관 직원을 합친 2,057명 가운데 실적(근무평정) 및 다면평가에서 2년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거나 불성실한 직무 처리, 상습적인 음주운전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19명을 인사쇄신 대상자로 선정, 3개월간 직무역량 강화 교육과 카운슬링을 실시한 뒤 재배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 차관은 “이번 조치는 직무역량 등이 떨어지는 공무원을 퇴출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조직의 활력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상시적 인사쇄신 프로그램의 일환”이라며 “재교육ㆍ카운슬링 후 전문가의 평가보고서 등을 토대로 오는 9월 인사 재배치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심보균 인사혁신팀장은 “재교육 후 직무역량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면 역량에 맞는 보직에 재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해 인사쇄신 대상자 중 퇴출될 공무원은 극소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인사쇄신 대상자 19명(재교육 10명, 카운슬링 9명) 가운데 팀장급을 포함한 5급 이상 및 본부 직원은 각각 7명씩이다. 인사쇄신 대상자들은 전문가로부터 변화적응훈련(4주)과 리더십ㆍ문제해결 등 생산성 향상교육(6주) 또는 맞춤형 카운슬링(재무설계ㆍ심신치유ㆍ직무 스트레스 관리 등)을 받게 된다. 한편 행자부는 이에 앞서 보직 적응력이 떨어지는 10여명을 전보하고 지나치게 많은 외부 강의를 하거나 세금을 체납한 공무원 등 30여명에 대해 시정ㆍ주의를 촉구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