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中경제에 4단브레이크…“중국사업 방향 바꿔라”


[앵커]

중국경제가 수입과 소비, 투자, 금융 등 부문에서 제동이 걸렸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이를 반영해 국내 기업들이 중국 사업방향을 시급히 재설정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습니다. 정창신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 ‘중국경제 신창타이시대,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중국경제를 진단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중국은 세계경제를 견인했던 2010년과 비교해 내년 수입증가율은 22.1%에서 14.9%로 7.2%포인트 떨어지고, 소비증가율은 9.4%에서 7.7%, 투자는 15.3%에서 4.7% 감소할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특히 중국 경제의 ‘수입증가 속도의 감소’를 지적했습니다. 중국이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해 중간재 수입을 중국산으로 대체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중간재가 대중국수출의 73%를 차지하는 우리에게는 큰 위협입니다. 실제로 2000년 64.4%에 이르던 중국의 중간재 수입비중은 지난해에는 49.8%까지 떨어져 15년간 14.6%p의 수입대체가 이뤄졌습니다.

중국의 ‘소비증가율 감소’도 지적됐습니다. 중국은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소비중심 성장을 꾀하고 있지만, 주요 소비재 성장률이 절반이상으로 떨어지는 등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지난 4년새 자동차 판매증가율은 32.4%에서 6.8%로 25.6%p 감소했고, 가전은 15.0%p(18.0%→3.0%), 의류는 13.2%p(24.8%→11.6%) 감소했습니다.


대한상의는 소비부진에도 대륙의 지갑을 열게한 비결을 국내 전기밥솥업체에서 찾았습니다. 2005년만해도 422만달러에 그쳤던 한국 전기밥솥의 중국수출은 10년새 4배가량(1,717만달러) 증가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한 것입니다.

관련기사



또 이 보고서는 ‘투자증가율 감소’도 주목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국내기업들이 2000년대 중반까지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했지만, 지난 5년간 평균임금이 35% 정도 상승하면서 베트남, 인도 등 ‘포스트 차이나’를 찾아 공장을 옮기고 있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8조 달러에 달하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도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도 조언했습니다.

급격히 얼어붙고 있는 ‘중국금융’도 리스크라는 분석입니다. 대한상의는 “중국의 결제방식 60%정도가 외상거래”라며 “경기둔화로 중국 금융기관들이 기업금융을 더욱 조이기 시작하자 우리기업까지 흔들리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종명 팀장 대한상의 경제정책팀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습니다. 반면에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이라든가 중국 도시화의 급진전 등 우호적 환경들이 들어오고 있는데요.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변화에 나서야 될 때라고 생각됩니다.”

[스탠딩]

중국판 뉴노멀(New Normal)을 뜻하는 ‘신창타이’. 중국경제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전략 리스트럭쳐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영상취재 이창훈 영상편집 이한얼]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