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0월 29일] '고사위기' PP업계 지원해야

케이블 방송사(PP)들이 환율 폭등 등으로 고사위기에 놓였다. 지난해부터 ‘미국 드라마(미드)’ 열풍을 일으키며 케이블 시장 활성화를 꾀한 대형 PP 업체들이 연일 치솟는 환율에 프로그램 편수를 줄이는 등 비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PP의 한 관계자는 28일 “해외 거래처에 당분간은 송금을 미루고 계약했던 일부 프로그램 구매를 보류하는 등 양해를 구하고 있지만 환율이 진정되지 않으면 내년은 어떻게 프로그램을 편성할지 난감하다”고 말했다. 최근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영상 콘텐츠 견본시장(MIPCOM)에서도 국내 방송 콘텐츠를 수출입하는 상당수 업체들은 곧 출범할 인터넷TV(IPTV) 특수에도 불구, ‘콘텐츠 쇼핑’을 포기했다고 한다. 문제는 콘텐츠 수입 프로그램을 줄여 편성하면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늘려야 하지만 대다수 PP들이 이 같은 능력이 없다는 데 있다. 최근 우후죽순으로 늘어난 PP들로 과당 경쟁을 벌이면서 수신료와 광고 단가가 떨어지고 종합유선방송사(SO) 진입도 점점 어려워지면서 경영난 악화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PP들이 자생력을 갖도록 방송시장의 구조를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아직도 콘텐츠 시장은 지상파가 독과점을 이루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뉴미디어 시장 지배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 공급을 구조적으로 방해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의 말초적 오락프로그램과 드라마가 재탕ㆍ삼탕되면서 PP 제작 프로그램들은 설자리를 잃고 있다. 자본 축적을 하지 못한 PP들의 제작능력은 갈수록 떨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프로그램 한 편당 제작비가 점점 늘고 있는 것도 PP 업계에 부담이다. 방송 시장은 케이블TVㆍ인터넷TV(IPTV)ㆍ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등 점점 다양한 플랫폼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명 고속도로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고속도로 위를 달릴 자동차가 얼마 없고 제 기능을 못하면 비싼 돈을 들여 고속도로를 만들 이유가 없다. PP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하는 이유다. PP 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국내 콘텐츠 질을 높이는 데 정부가 다같이 노력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