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호재 불구 지방부동산시장 여전히 '썰렁'

■ 양도세 감면연장 발표후$ 가보니<br>업계 "세 감면 때문에 사겠다는 사람 없다"<br>모델하우스도 한산 별다른 움직임 안보여<br>건설사선 분양가 할인싸고 '눈치보기' 돌입

지방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양도세 감면 연장호재에도 불구하고 지방 분양시장은 여전히 썰렁하기만 하다. 잔금 유예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는 천안 용곡동의 한 미분양 아파트 전경.

정부가 지방미분양 아파트에 대해 양도세 감면을 연장키로 했지만 주말인 지난 20일 지방 분양시장은 별 다른 움직임이 없이 전반적으로 한산했다. 지방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건설사들은 분양가 할인 여부를 두고 '눈치보기'에 돌입했으나 당장 모델하우스를 찾거나 매입 문의를 해오는 예비 투자자는 드물었다. 특히 지방에서 미분양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건설사들은 무엇보다 공식적으로 분양가를 깎아야 한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는 모습이었다. 분양가를 깎지 않으면 양도세 감면(60~100%) 혜택도 받을 수 없다. 대구에서 2~3곳 정도의 미분양단지를 보유하고 있는 중견 A건설사의 현지 소장은 "분양가를 깎을지, 깎는다면 어느 정도나 내려야 수요자가 움직일 수 있을지 등에 대해 본사에 보고하기 위해 조사 중"이라며 "만약 분양가 할인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 마케팅 전략을 다시 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견 B건설사의 부산지역 담당 소장은 이에 대해 "중도금 무이자 대출이나 선납할인, 프리미엄 보장제(입주시 집값이 오르지 않으면 이를 잔금에서 깎아주는 제도) 등을 통해 각 건설사가 나름대로 분양가 할인을 이미 시행하고 있다"며 "기존 계약자의 반발 때문에라도 서류상 할인가를 깎을 수 있는 건설사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지 않아도 입주를 앞두고 잔금 납부를 거부하는 입주자와 건설사간의 마찰이 곳곳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데 기존 계약자에게 '빌미'를 줄 수 있는 선택을 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수도권과 가까운 충청권 미분양시장도 썰렁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나마 지역별 호재가 있는 곳에서는 간간히 문의 전화가 있었지만 양도세 감면 때문에 집을 사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없다는 게 현지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설명이다. 대형 C건설사의 천안 담당 분양소장은 "양도세는 일단 집값이 올라야 의미가 있는 게 아니냐"며 "입주 후 5년이 지나 집을 팔면 세 감면을 받을 수 없는데 서울도 아닌 지방에서 이런 단타 매매를 할 수요자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취득ㆍ등록세 감면 연장은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광주에서 미분양주택을 팔고 있는 중견 D건설사의 분양소장은 "취득ㆍ등록세 감면은 당장 몇 백만원 정도를 아낄 수 있어 그나마 반응이 좋은 편"이라면서도 "언 발에 오줌누기식 정책을 지양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