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진출 기업의 금융허브부터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이 중국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제조업 공동화(空洞化)로 국내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임금이 싸고 노동의 질에 차이가 없으며 노사문제를 신경 쓸 필요가 없는 곳을 마다할 기업은 없다. 기업인으로서 존경을 받고 이익을 남길 수 있으면 세계 어느 곳이든지 유리한 환경을 찾아 이전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요즘 중소기업들이 모이는 자리면 공장이전 문제가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많은 회사들이 중남미, 동남아시아로 이전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가 중국으로 확산되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이러한 기업이전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 억지로 막을 수는 없다. 그리고 이제는 다른 차원에서 기업과 국가가 상생(WIN-WIN)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비록 제조시설을 중국으로 옮겨갔지만 한국기업으로 남아있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등에 진출한 기업들은 한국의 모기업이 대부분의 자금을 대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영향력이 남아 있고 한국의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언제까지나 그럴 수는 없다. 만일 해외진출기업들이 상해ㆍ심천ㆍ홍콩ㆍ싱가포르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게 되면 현지에서 필요한 자본을 조달하게 된다. 현지인이 점차 대주주가 되고, 현지 거래소에 분기별ㆍ연도별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며, 그곳에서 공시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기업과 또는 한국의 자본시장과 아무 연관이 없게 된다. 다행히 중국의 자본시장이 아직 덜 발달되어 있다. 중국의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차입도 쉽지가 않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이 코스닥에 등록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제조업체를 국내에 유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상 자본적으로 연결돼 있어야 한다. 선진국의 다국적기업들의 사례가 모두 이와 유사한 경우이다. 우리나라가 추구하는 동북아금융허브 구축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우선 해외로 진출하는 우리기업의 금융허브부터 시작해야한다. 중국의 자본시장과 금융시스템을 통한 현지자금조달이 어려울 때가 기회이다. <허노중 코스닥위원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