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북 의류업체, 교역중단 조치 후 업체당 31억 손실

총 200여개 개성공단 입주업체 중 41개 대상 설문조사

대북 의류위탁가공업체들의 손실액이 지난달 24일 정부의 교역ㆍ교류 중단 방침 이후 대략 1,300여억원인 것으로 파악했다. 대북 의류위탁가공업체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15일 최근 42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교역 중단으로 예상되는 손실액이 1,320억 7,000만원(1억 799만 달러)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업체당 평균 피해액은 31억 4,000만원이다.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북한으로 반출을 못해 창고에 쌓여있는 원ㆍ부자재와 납품 손실이 769억3,000만원(6,291만 달러)으로 58.2%를 차지했고, 북한으로 보낸 원ㆍ부자재를 들여오지 못해 발생하는 손실은 173억 2,000만원(1,417만 달러)이다. 또 기계 등 설비투자 손실액은 31억 1,000만원(255만달러)이고 브랜드 이미지 훼손과 인건비 등 기타 손실은 346억 7,000만원(2,835만달러)로 집계됐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업체는 통일부가 파악하는 전체 대북위탁가공업체 200여개의 25% 수준이고 일부 대기업도 여기에서 빠졌다. 따라서 정부의 대북조치로 인한 피해규모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대북의류위탁가공업체들은 정부에 교역중단 유예 등 대책을 촉구하면서 최근 이 자료를 통일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