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총리가 개각인선을 결정하기까지 상당수 인사들이 검토대상에 올랐다. 이 가운데 일부는 거의 확정적이다 막판에 지역·여성안배 등의 변수때문에 뒤집힌 것으로 전해졌다.◇경제분야= 자리보다는 인물이 먼저 검토된 케이스. 진념 기획예산위원장, 강봉균 청와대 경제수석,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 박병윤 한국일보 상임고문 등이 후보로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업무의 연속성을 감안, 康수석이 재경장관을 맡고 陳위원장이 기획예산처장관을 맡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다가 재경장관이 수석장관이라는 점을 감안해 연배가 높고 친화력이 좋은 陳위원장이 재경장관을 맡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많아 고심이 컸다는 후문이다.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과 전윤철 공정거래위원장은 재벌개혁의 완수를 위해 일찌감치 유임으로 결정됐으나 경제수석의 이동이 막판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옮길 경우 후임에는 정덕구 재경차관 등이 거명됐다.
이에 따라 경제수석은 앞의 남은 두 사람과 함께 4파전 양상이 됐다.
또 예산처장관으로는 최수병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장승우 금융통화위원, 안병우 예산청장 등도 물망에 올랐다.
산업자원부 장관에는 이선 산업연구원(KIET)원장, 조건호 총리비서실장, 한덕수 통상교섭본부장, 최홍건 차관, 추준석 중소기업청장, 한갑수 가스공사 사장 등이 후보로 추천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교통장관에는 이건춘 국세청장이 유력한 가운데 류상열 고속철도공사이사장, 홍철 국토연구원장 등 비교적 많은 후보가 거명됐다.
남궁석 정보통신장관의 경우 교체를 전제로 안병엽 차관등이, 농림장관엔 김동태 차관과 박상우 전농촌경제연구원장 등이 각각 추천됐다.
서정욱 과기장관과 정상천 해양수산장관은 유임쪽으로 결론이 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안보분야= 강인덕 통일장관의 교체를 전제로 임동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통일장관 후임으로 추천됐다. 포괄적 대북포용정책의 본격적인 집행기를 앞두고 이 정책의 입안·기획자인 林수석이 집행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논리다.
이 경우 후임 외교안보수석으로는 나종일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거론되고 있으나 羅차장의 16대 총선 출마 의사때문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천용택 국방장관의 경우 전국구 의원직을 사퇴하는 대신 유임하는 안도 거론되고 있으나, 조직의 활성화와 사기앙양이라는 5·24 개각의 취지에 따라 교체쪽으로 기울었다는 후문. 후임으로는 김진호 합참의장이 거론되고 있으며, 대선 때 4성장군 출신중 사상 처음 金대통령을 지지한 오영우 마사회장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홍순영 외교통상장관은 유임이 확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문화분야= 법무장관 후임에는 신건 국가정보원 제2차장, 대검 중수부장을 지낸 정성진 국민대교수, 강원일 전 국민고충처리위원장, 조성욱 전 법무차관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교육장관에는 조규향 청와대경제수석, 김덕중 아주대총장 등이 거명됐고, 문화관광장관엔 박성용 예술의 전당 이사장, 신현웅 차관이 추천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연금이라는 난제를 풀어야 할 보건복지장관에는 일각에서 최선정차관 이름도 나오고 있으나 崔차관이 국민연금 파동의 실제 책임자라는 점을 감안, 장·차관 모두 교체하면서 추진력있는 보건 전문가와 복지 전문가가 상호보완적으로 외부에서 충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장관에는 외부인사로 평민당 총재권한대행을 지낸 환경전문가 박영숙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장과 내부승진케이스로 정진승 차관이 추천됐다.
노동장관에는 배무기 중앙노동위원장과 안영수 차관이 유력한 후보였고, 김기재 행자장관은 유임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신설되는 중앙인사위원장(장관급)에는 김광웅·오석홍 서울대 교수와 정범모 한림대 교수 등이, 국정홍보처장(차관급)에는 박준영 청와대비서관, 나형수 KBS심야토론진행자, 황소웅 전 한국일보 논설위원, 오홍근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등이 추천대상에 올랐다. /김준수 기자 JSK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