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계파 핵심 인사 공천 줄탈락…박근혜의 선택은

초강수 "탈당" 내밀 가능성 낮아<br>총선 한달도 안남아 신당 만들 시간 없고<br>"차떼기 주역" 비판해온 昌과 제휴도 부담<br>공천결과 수용…정치적 명분쌓기 나설듯


계파 핵심 인사 공천 줄탈락…박근혜의 선택은 초강수 "탈당" 내밀 가능성 낮아총선 한달도 안남아 신당 만들 시간 없고"차떼기 주역" 비판해온 昌과 제휴도 부담공천결과 수용…정치적 명분쌓기 나설듯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홍재원기자 jwhong@sed.co.kr '13일 밤의 대학살'이 지나간 다음날. 박근혜(사진) 전 한나라당 대표의 삼성동 자택은 그의 착잡한 속내를 보여주듯 조용했다. 외부 노출을 피한 채 서울 시내 모처에서 일부 측근들과 비밀 회동을 한 것이 전부였다. 그는 끊어 오르는 분노를 삭힐 수 없었을까. 워낙 입이 무겁고 신중한 편이지만 14일만큼은 측근인 이정현 공보특보를 통해 속내를 드러냈다. "사적 감정을 가지고 한 표적 공천이다"는 표현은 그의 평소 성향을 감안할 때 '격분'이란 단어가 어울릴 정도로 수위가 높은 것이었다. 지난 12일 "뒤통수 맞았다" "(이명박 대통령과의) 신뢰는 깨지는 것 아니겠느냐"며 당과 청와대에 경고메시지를 보낸 지 이틀 만이었다. 계파 숙청의 위기로 몰린 박 전 대표. 그는 지금 계파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희생되면서 막다른 선택의 길로 몰리고 있다. 13일 공천에선 자신의 팔ㆍ다리는 물론 머리와 입 역할을 해온 김무성ㆍ김재원ㆍ김기춘ㆍ김태환ㆍ박종근ㆍ엄호성ㆍ유기준 의원 등이 동시에 낙천됐다. 청와대와 친이(親李ㆍ이 대통령)계가 박 전 대표에 대해 본격적으로 '토끼몰이'를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막다른 골목까지 몰린 만큼 탈당의 극약 처방을 내놓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마침 계파 좌장인 김무성 의원이 이날 탈당ㆍ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유기준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자신에게 "살아서 돌아와 달라"고 말했다며 다음주 초 탈당을 시사했다. 그렇다면 박 전 대표까지 극단의 카드를 꺼낼까. 아직까지는 그가 탈당의 초강수를 둘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타이밍을 놓쳤다는 것이다. 총선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신당을 만들어 다시 출마후보를 뽑아 선거전에 돌입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다. 친박계가 모두 박 전 대표를 따라줄지도 불투명하다. 더욱이 탈당 후 자유선진당과 손을 잡는 것도 여의치 않다. 선진당은 영남ㆍ충남ㆍ대전ㆍ수도권에서 대구 중ㆍ남구를 비롯한 15곳의 총선후보를 확정했고 17~18일께 추가 공천자 발표를 예고하는 등 '개문발차'했다. 선진당은 또 박 전 대표 자신이 '차떼기 주역'으로 비판해온 이회창 총재가 자리잡고 있다. 한 친박계 인사는 "박 전 대표가 영남 공천에서 수모를 겪기는 했지만 당 내에서 얻을 '케이크'는 남아 있다"고 귀띔했다. 영남 쇄신과 맞물려 (서울) 강남권과 같은 수도권 현역 의원들을 물갈이하면서 친박계에 대한 당의 배려가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는 "박 전 대표의 가장 큰 자산은 '원칙을 지키는 정치인, 한나라당을 지킨 정치인'이라는 것인데 탈당을 하면 이 모두를 잃는다"며 "공천 결과를 대범하게 받아들이면서 동정 여론과 정치적 명분을 쌓고 절치부심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이날 유 의원 등에게 살아서 돌아오라고 말한 것도 이런 정치적 상황과 연결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