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장년 어지럼증 뇌졸중 조심을

가끔씩 부정기적으로 찾아 오는 어지럼증이라도 중ㆍ장년층의 경우 뇌졸중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포천중문의대 김옥준(분당차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최근 단순한 어지럼증으로 내원한 294명(남자 141명ㆍ여자 153명)을 대상으로 MRI 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무려 38.7%(114명)가 뇌졸중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은 "특히 조사 대상자들은 모두 뇌졸중에 대한 병력이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언어장애ㆍ마비ㆍ감각장애 등 뇌졸중의 전조증상도 없이 단순한 어지럼증만 호소하는 환자들이었다"면서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성인병이 있으면서 연령층이 높을수록 발생률이 매우 높았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을 느껴 내원한 환자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뇌졸중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연령별 분석결과를 보면 확실하게 나타난다. 김 교수팀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0대 이하에서는 발병률이 매우 적었다. 그러나 50대의 경우 60명 중 35%(21명)ㆍ60대 80명 중 51%(42명)ㆍ70대 51명 중 64.7%(33명)ㆍ80대는 16명 중 56.3%(9명)이 뇌졸중이 진행되고 있어 어지럼증의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연령증가에 따라 높았다. 또 김 교수팀은 자료 분석과정에서 어지럼증 환자 중 당뇨병이나 고혈압ㆍ고지혈증ㆍ심장병 등 성인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뇌졸중은 2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각심을 주고 있다. 294명 중 142명이 성인병을 앓고 있었으며 142명 중 83명(58%)이 뇌졸중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성인병은 뇌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성인병을 앓는 사람이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정밀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