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립형사립高 도입 부정적"

서울시민 "고교서열화ㆍ빈부차 심화" 우려서울시민 10명중 7명은 교육기회의 빈부격차 심화 등을 이유로 자립형사립고 도입에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전교조에 따르면 설문조사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 지난 14∼15일 서울시내 만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현시점에서 자립형사립고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반대'(31.7%)나 '시기상조'(33.4%)라는 부정적 견해가 찬성(31.8%)보다 많았다. 자립형 사립고를 시행했을 때 나타날 효과에 대해서도 '고교 교육을 다양화ㆍ특성화하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클 것이다'라는 의견이 39.0%로, '입시학원화ㆍ고교 서열화의 효과가 더 클 것이다'(54.9%)라는 부정적 견해보다 적었다. 자립형 사립고 도입을 반대하는 이유론 '교육기회의 빈부격차 심화'가 47.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교육비 증가' 14.9%, '평준화 해체 및 고교 서열화' 14.4%, '중학교 입시열풍' 12.8% 등의 순이다. 반면 이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고교교육의 다양화ㆍ특성화를 통한 선택권 확보'40.9%, '우수학생 선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23.0%, '평준화정책 보완을 통한교육의 질 제고' 22.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교육인적자원부는 시범적으로 30개의 자립형사립고를 선정 내년부터 운영할 방침이다. 최석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