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 한국학교는 한국어 교육 산실”

호치민시 한국학교 출신 이정현양

지난 24일 호치민시 외국어정보대학 강의실에서 많은 베트남 학생들이‘제9회 한국어 능력시험’을 치르고 있다.

“해외 한국학교는 한국어 교육 산실” 호치민시 한국학교 출신 이정현양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지난 24일 호치민시 외국어정보대학 강의실에서 많은 베트남 학생들이‘제9회 한국어 능력시험’을 치르고 있다. “처음부터 한국에 있는 일반 학생들과 수능을 통해 경쟁하기는 불가능하다. 현재 각 대학마다 정원외 2%선에서 뽑고 있는 재외국민특별전형을 절대 없애서는 안된다.” 호치민시 한국학교를 졸업하고 올 1학기 수시전형에서 서울대 의예과에 입학한 이정현(19)양은 ‘재외국민전형’은 특혜가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해외주재 교포들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라고 강조했다. 졸업생들 대부분이 한국내 대학으로의 진학을 희망하는 상황에서 ‘재외국민전형’은 이 학교 졸업생들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통로라는 얘기다. 올해 3번째를 맞은 호치민시 한국학교의 졸업생 36명중 18명도 이 같은 방법으로 서울소재 대학에 입학했다. 98년도 9월 설립된 호치민시 한국학교는 호치민시 중심에서 외곽으로 20~30분 거리에 있다. 최근 2만여명으로 부쩍 늘어난 한국인 교포들과 그 자녀들은 물론 현지 베트남인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산실이다. 국내에서 파견된 교사들과 현지 채용교사 60여명이 유치원과 초ㆍ중ㆍ고교 과정의 교포학생 660명을 가르친다. 현지 대학들에 개설돼 있는 한국어학과에 한국어 교재와 민속자료등을 지원하거나 토요일 등 휴일에는 국제학교(international school)나 베트남 현지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을 위한 ‘토요 한국어 강좌’도 연다. 학교 운영을 맡고 있는 이견호 교장은 “학교 수업료는 월 200달러 정도로 연간 수업료가 2만~3만달러나 하는 국제학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해 교포 자녀들의 복지시설로서의 구실도 한다”며 “현재 6,000여평에 불과한 학교 부지와 교사(校舍)를 늘어나는 학생 수에 맞춰 늘리는 것이 최대 현안”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10/05 17:4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