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녹색금융 시들시들

자전거보험 月 가입 100건에도 못미쳐<br>판매 한번 못하고 사라지는 상품도 다수<br>"현장과 괴리 정책 탓"

정부가 녹색금융을 강조하며 녹색기업인증제를 도입한 지 1년이 지났지만 녹색금융상품개발과 판매는 걸음마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대로 판매 한번 못해보고 사라지는 상품들도 부지기수다. 이벤트성 전시용 상품으로 전락한지 오래라는 지적이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6월 처음으로 선보인 자전거보험의 월 가입량은 100건에도 못치고 있다. 2년 전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자전거보험 1호 가입자가 될 정도로 금융감독당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후 출시 10개월 만에 1만2,450건이나 판매되는 등 녹색 열풍이 불었지만 현재 성적표는 초라하다. 의욕적으로 판매를 시작했던 삼성화재 등 일부사를 제외하면 대부분 판매를 중지한 상태다. 요일제 자동차보험은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보험료도 할인 받는 대표적인 상품이지만 현재 총가입자 수는 회사별로 100건에도 못 미친다. 손해보험사의 한 관계자는 "요일제 차보험은 실적이라고 발표하기도 부끄러울 정도"라며 "이렇게 상품 경쟁력이 없다면 곧 사라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메리츠화재는 녹색 이슈 이전부터 요일제 차량에 관심을 가지고 고가의 주행기록장치(ODB)를 무료 임대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현재 유치건수는 8,000여건을 넘어섰지만 전체 자동차보험 건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저속 전기차보험의 경우 가입건수가 전국을 통틀어 67대에 불과하다. 은행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2008년 출시된 우리은행의 녹색통장은 같은 해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2009년에는 2조원 가까운 실적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잔액은 3,789억원에 불과하다. 국민은행의 'e-공동구매정기예금'도 한때 2,000억원이 넘었지만 지금은 674억원, 2009년 12월 기준 3,000억원이 넘었던 사업자 우대적금도 실적이 줄었다. 그나마 'KB그린그로스론' 등 일부 상품은 어윤대 회장 취임 이후 판매에 주력한 결과 실적이 유지되고 있다. 영업이 강화되면서 실적이 늘어 체면치레를 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등 다른 은행들의 실적도 정체 상태다. 다만 기업은행은 올 들어 녹색성장 중소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금융지원을 위해 지원 대상 및 범위를 변경해 지원에 나서고 있다. 금융권은 소비자와 기업들에 녹색금융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녹색금융 종합 포털을 3월 개설했으나 홈페이지를 찾는 방문자 수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현장과 괴리된 정부 정책이 녹색금융의 퇴보를 가져왔다"며 "녹색인증제가 시행됐지만 녹색기업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없는데다 조달한 예금 자금의 60% 이상을 대출하지 않을 경우 은행에 페널티를 주는 등 현실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녹색금융상품 판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로봇산업의 경우 정부가 수십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현장에 가보면 정말 영세한 업체가 많다"며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더 따라주지 않는 한 고위험·고수익인 녹색금융에 적극적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