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농기계제작업체, 수출 확대에 바이어 확보 등 절실

농진청, 국내 농기계업체 67곳 대상 설문

국내 농기계업체들은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바이어 확보와 정보를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6월 국내 농기계 업체 67곳을 대상으로 수출 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관련기사



기업들은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바이어 확보(31.8%)가 가장 필요하다고 꼽았다. 이어 해외 정보 제공(20.7%), 바이어 정보 제공(17.8%)과 전시회 참가 지원(17%), 수출금융 지원(14.1%)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또 수출 과정에서 해외정보 수집(32.5%), 언어 제약으로 인한 상담·계약(23.7%), 사후 관리(16.3%)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수출 희망국으로는 극동아시아(25.4%), 동남아(23.9%), 유럽(18.3%), 북미(9.2%) 순으로 답했다. 업체들은 가격이 비교적 높은 고급기술 적용 제품은 구매력이 있는 선진국으로, 인력을 대체하는 기초 농기계는 아시아나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으로의 진출을 희망했다.

수출 현황 조사 결과 작물재배용 작업기를 생산하는 기업이 40.3%로 가장 많았으며, 수출이나 해외사업 전담 부서를 운영하는 기업은 31.3%에 불과해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품목 중 트랙터와 부속 작업기는 미국, 유럽, 호주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곡물건조기 관련 제품은 벼농사 중심인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하고 있었다. 조사 기업의 50%는 현지 환경에 알맞은 수출형 모델을 별도로 개발·생산하고 있었으며, 약 52%의 기업이 해외 현지 적응 시험을 하고 있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