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궁근종, 복강경수술로 치료

개복없이 5mm 최소 절제로 500g 이상 크기 제거<br>강북삼성병원 최종섭 교수팀

강북삼성병원 최중섭 교수팀이 거대 자궁근종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내시경 수술을 하고 있다.

거대 자궁근종을 복강경수술로 치료한 사례가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 강북삼성병원 최중섭(산부인과) 교수팀은 “새로운 방식의 복강경 수술법을 이용해 500g 이상의 거대 자궁근종 34 케이스를 치료한 결과 기존의 개복수술과 같은 효과를 거두면서 좋은 치료성적을 거두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기존 방식과 달리 V자 형태로 4개의 구멍을 뚫어 복강경 장비를 몸 안에 삽입하면 1㎏ 이상의 거대 자궁근종도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복강경 수술의 투관침 위치와 달리 새로 개발된 수술법은 배꼽 바로 아래쪽 부위에 5㎜를 절개한 후 복강경을 삽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궁근종 위치와 요관이 어떻게 지나가는지 관찰한 후 환부와 거리가 있는 배꼽 위쪽 양 옆 2곳과 치골 위 정중앙부에 1곳 등 모두 4곳을 절개한 후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을 한다. 이처럼 자궁근종이 발생한 환부와 거리가 있는 곳을 절개하여 복강경 기구를 삽입하면 크기가 큰 자궁근종이라도 전체를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수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최 교수의 설명이다. 또 거대 근종 수술 시 환부와 거리를 둬 복강경을 삽입하면 수술하기 편리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수술시간까지 줄일 수 있다. 최 교수는 “이 수술법은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에도 이용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은 여성과 출산의 상징인 자궁에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질환으로 일반적으로 근종 또는 평활 근종이라고도 한다. 여성호르몬 분비가 왕성한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어느 연령에 상관없이 발견된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을 나타내며 25%정도에서 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은 근종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다. 흔한 증상은 생리통이 심해지거나 생리양이 늘어나며, 하복통이나 질 출혈이다. 자궁근종이 매우 커진 경우 복부에서 만져지거나 주의 장기를 압박해 빈뇨나 변비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는 환자의 나이와 향후 출산여부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수술적 치료와 수술을 하지 않는 내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을 보존하는 경우와 보존하지 않고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자궁을 보존하는 경우는 환자의 나이가 너무 젊고 출산을 원하는 경우, 환자 본인이 강력하게 자궁을 보존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실시하며 이 경우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에도 정기적인 진찰이 필요하다. 내과적인 치료는 호르몬제제 등을 이용해 수술 전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증상의 일시적인 호전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