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전국가구 소득격차 사상최대로 벌어져

소득배율 8.36으로 확대..적자가구 31.8% <br>도시근로자 소비지출 증가율 환란후 최저

전국가구 소득격차 사상최대로 벌어져 소득배율 8.36으로 확대..적자가구 31.8% 도시근로자 소비지출 증가율 환란후 최저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관련기사 • 소득·지출 증가 둔화에 분배는 악화 전국가구의 소득 격차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이후 최대의 수준으로 벌어졌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4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 가구의월평균 소득은 306만2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293만8천원보다 4.2%가 늘어났다. 이는 1.4분기 기준으로 2004년 6.8%, 작년 5.8%에 비해 둔화된 것이다. 물가상승을 감안한 전국가구 실질소득은 월평균 255만8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251만1천원보다 1.9% 증가했다. 전국 가구를 소득 순위별로 20%씩 5개 분위로 구분했을 때 5분위 소득을 1분위로 나눈 소득배율은 8.36으로 나타났다. 전국가구의 소득배율은 1.4분기 기준으로 2003년 7.81, 2004년 7.75, 2005년 8.22 등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배율은 5.80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5.87과 비교했을 때조금 개선됐지만 사실상 별다른 변화가 없는 수준이다. 또 전국 가구 가운데 적자 가구는 지난 1.4분기에 31.8%로 작년 같은 분기의 31.3%보다 소폭 올라갔다. 최연옥 통계청 고용복지통계과장은 "전국 가구에는 자영업자 무직자 등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도시근로자 가구에 비해 소득격차가 벌어질 수 밖에 없다"면서"이런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국가구의 소비지출은 월평균 220만6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에 비해 3.9%가 늘어나 작년 1.4분기의 증가율인 4.0%보다 조금 낮았다. 그러나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은 224만4천원으로 3.4%가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1.4분기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98년에는마이너스 8.8%였으나 99년 8.9%, 2000년 12.7%, 2001년 5.5%, 2002년 7.7%, 2003년4.8%, 2004년 8.5%, 2005년 4.5% 등이었다. 조세.공적연금.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은 전국 가구가 7.9% 늘어난 37만9천원,도시근로자 가구는 9.5% 증가한 45만3천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1인가구에 대해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 여성 가구가 65.0%에 이르렀다. 1인가구주 연령별로는 60세이상이 41.4%에 이르렀고 29세이하 14.3%, 30∼39세13.7%, 40∼49세 15.7%, 50∼59세 14.8% 등이었다. 1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만4천원으로 2인이상 가구의 1인당평균 94만7천원보다 많았다. 입력시간 : 2006/05/10 13:1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