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량진 수몰사고' 댐 수위상승시 철수지침 위반

근로자들 작업 중단 지시 못받아 참변 당한 듯 <br>실종자 수색작업 오늘 오후 착수…현장에 대책본부 설치

지난 15일 서울 동작구 상수도관 공사현장의 수몰 참사는 팔당댐 수위가 오르면 현장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수방계획을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날 사고로 근로자 1명이 목숨을 잃었고 6명은 실종돼 아직 발견되지 못했다.


시공사 천호건설 소속 박종휘 현장소장은 16일 현장브리핑을 통해 “지난 5월 각 공사장에 팔당댐 수위의 변화가 있으면 현장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수방계획이 전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감리사 ㈜건화의 이명근 감리단장은 “현장에 갔을 땐 역류할 수 있는 높이가 1m 이상 남아 있었고 당연히 매뉴얼대로 (근로자들이) 빠져나올 줄 알았다”고 말해 아무런 사전 조치가 없었음을 인정했다.


사고 당일 팔당댐 방류량은 오전에 초당 7천t가량에서 오후에는 1만5,000t으로 급격히 불어나는 등 상황이 긴박했음에도 현장에서는 유선이 아닌 ‘카카오톡’을 이용한 보고가 이뤄지는 등 안이하게 대처했다.

관련기사



박 소장은 “팔당댐을 방류하면 (물이 유입되는 데) 현장까지 3~4시간이 걸린다”며 “공사팀장한테 오후 4시 13분 카카오톡으로 범람 위기 사진을 받았고 이후 작업을 임시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작업 중단 지시가 하도급업체 관리자에게 전달됐는지, 근로자들에게 통보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한강홍수통제소가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에 한강 수위 상황을 실시간으로 문자와 팩스로 전달하지만 공사장 등 소규모 현장까지 전달되는 데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도 발견됐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2시까지 배수작업을 마치는 대로 잠수부를 투입해 김철득(54)씨 등 실종자 6명의 수색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