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금융교육을 활성화하자


최근 언론의 경제 분야 핫이슈 중 하나가 가계부채 문제인 것 같다.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지난 6월 말 현재 922조원에 이른다. 이는 올 예산의 3배에 달하는 규모이고 대외부채의 2배를 웃도는 금액이라고 한다.

정부는 급증하는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출자 상환부담 경감과 채무상환능력 제고, 서민금융 강화 등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고 경제전문가들도 여러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00년대 초반에는 무분별한 신용카드 발급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큰 고비를 넘겼는데 10여년이 지나 다시 가계부채 문제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드러나고 있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왜 이처럼 나라를 뒤흔드는 경제이슈가 끊이지 않는 것일까. 다양한 원인을 제시할 수 있겠지만 필자는 그중에서도 '금융교육의 부재'를 주요 원인으로 꼽고 싶다.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영국은 1990년대 초반 경제불황과 함께 개인파산이 급증하면서 금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된 것을 계기로 청소년 금융교육이 활성화됐다. 영국 정부는 교육정책을 통해 학교에서 금융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또 금융업계는 금융전문가를 학교에 파견해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교사의 금융지식 함양을 위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 정부와 금융업계가 힘을 모아 다양한 금융교육프로그램을 정착시키고 학생들의 금융역량을 키우는 데 노력한 것이다.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정부와 금융업계가 금융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금융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생명보험업계도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금융교육뮤지컬 초등학교 순회공연, 중ㆍ고등학생 방문교육 및 캠프 개최, 대학생 금융교육교재 발간 등으로 학생들의 금융역량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대다수의 학생들은 금융교육을 받지 못하고 졸업하는 게 현실이다.

영국의 사례처럼 우리나라도 신용카드 대란, 가계부채 문제 등과 같은 심각한 경제 문제들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금융교육의 활성화'가 절실하다. 정부는 학교 교과과정에 금융 관련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하고 금융업계도 임직원의 재능봉사활동을 장려해 보다 적극적으로 금융교육 활동에 참여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