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나로호 이륙 137초후 통신두절

[소제목] 음속돌파는 성공…오후 7시경 성공 여부 판가름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10일 오후 5시 1분에 발사됐지만, 이륙 137초 뒤 고도 70㎞ 상공에서 통신이 두절됐다. 이주진 항공우주연구원장은 이날 발사 후 가진 브리핑에서 “통신이 두절되기 전까지는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이뤄졌음을 데이터상으로 확인했다”면서 “탑재 위성을 찾을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발사된 나로호는 이륙 55초 뒤 음속을 돌파하고 215초 후 고도 177㎞ 상공에서 위성을 감싸고 있던 페어링(인공위성 보호덮개)이 떨어져 나간다. 이어 이륙 232초 후 고도 196㎞에 이르면 발사체 1단이 분리되고 395초 후 2단 로켓이 점화되기 시작해 고도 300여㎞ 상공에 도달하는 이륙 540초 후 시점에서 과학기술위성 2호가 분리된다. 나로호는 음속 돌파에는 성공했으나 이륙 후 137초 뒤 고도 70km, 거리 87km 지점에서 통신이 두절됐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페어링 분리를 비롯해 1단분리, 2단 점화, 과학기술위성 2호의 분리 여부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로선 나로호의 임무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발사 약 100분 뒤에 과학기술위성 2호가 노르웨이 수발바드르 기지국에 비콘 신호를 보냈느냐를 파악하는 것이다. 비콘 신호는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할 수는 없으나 신호의 존재만을 확인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용어다. 자동적으로 15초 동안 신호를 보내고 45초 동안 쉬는 동작을 반복한다.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위성이 정상 궤도를 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기술위성 2호는 발사 후 약 100분 뒤에 노르웨이 수발바드르 기지국이 있는 북극지역을 통과한다. 이때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나로호는 탑재 위성의 목표 궤도 진입이라는 임무에 실패했을 가능성이 높다./고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