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아프리카 파견 에볼라 대응 보건의료인력 모집

의료진 감염시 현지ㆍ미국ㆍ유럽병원서 치료

복지부는 다음 달 7일까지 서아프리카 파견 에볼라 대응 보건의료인력을 공개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모집 직종은 의사ㆍ간호사ㆍ임상병리사ㆍ현장안전관리자 등이다. 의사ㆍ간호사ㆍ임상병리사의 경우 감염성 질환ㆍ중환자 관리·응급의료 등에 대한 전문성 또는 경력을 갖춘 사람이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선발 규모와 활동 범위 등은 다음 달 초 서아프리카에 파견되는 선발대의 현지 수요조사 결과 등에 따라 확정된다.


파견 보건의료인력의 활동 기간은 현지 교육과 활동, 임무 종료 후 격리기간(21일) 등까지 포함해 모두 7~9주에 이를 것으로 보건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의료진은 임무를 마치고 바로 국내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라, 에볼라 바이러스 잠복기간(21일) 동안 현지나 제3국 등의 안전한 지역에 격리됐다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돌아온다. 상황에 따라 우선 국내로 이송한 뒤 격리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파견을 희망하는 보건의료인은 이메일이나 우편을 통해 국립중앙의료원 인사팀(nmc@nmc.or.krㆍ서울시 중구 을지로245) 앞으로 지원서를 내면 된다. 모집 관련 세부 내용과 지원서 파일은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보건의료인력이 에볼라에 감염되게 되면 현지 에볼라 전문병원이나 미국ㆍ유럽 소재 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게 될 전망이다. 파견 의료진은 교육ㆍ감염 예방ㆍ검진ㆍ안전관리ㆍ감염환자 이송 등에 관한 국제기구의 매뉴얼을 따르게 된다.

아울러 보건당국은 ‘에볼라 국내 유입’이라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 국내 에볼라 대응 역량도 계속 키워갈 방침이다.

권준욱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에볼라 감염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국가지정격리병상’ 보유 의료기관은 현재 17개로, 19개까지 늘릴 것”이라며 “현재 음압병상 104개를 포함해 544병상이 확보됐고, 공항 입국 단계에서부터 서아프리카 3개국 경유자까지 21일 동안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