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민銀·하나금융지주, 외환銀 인수 자금동원 능력은 대등

현행법상 은행·금융지주사 투자한도 범위 달라<br>국민 자기자본의 30%·하나는 100% 쓸수있어

국민銀·하나금융지주, 외환銀 인수 자금동원 능력은 대등 현행법상 은행·금융지주사 투자한도 범위 달라국민 자기자본의 30%·하나는 100% 쓸수있어 한동수기자 bestg@sed.co.kr 외환은행 인수 의사를 밝힌 국민은행과 하나금융지주가 7조원 정도의 거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가 금융권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인수 후보자로 꼽히는 국민은행과 하나지주의 자금동원 능력을 현재 확보하고 있는 투자 여력만으로 예측해선 안된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현행법상 은행과 금융지주사의 투자한도 범위는 각각 다르다”며 “국민은행이 4조원정도의 투자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1조원 안팍의 자금이 있는 하나지주보다 유리하진 않다”고 말했다. 은행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투자한도 범위는 금융감독원의 감사에 따라 3등급일경우 15%, 2등급일 경우 30%까지 허용된다. 반면 금융지주사는 자기자본의 100%까지 즉, 자기자본액 만큼 투자가 가능하다. 국민은행의 경우 2004년 기준 은행등급이 3등급이며 이르면 이달 말 발표될 지난해기준 은행등급이 2등급으로 올라 설 전망이다. 따라서 국민은행은 3월이후 인수 및 합병(M&A)에 참여할 경우 자기자본의 30%까지 투자한도가 높아진다. 국민은행의 지난해 9월말기준 자기자본액은 11조7,856억원이었으며 12월말기준으로는 12조원 정도로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국민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투자한도(30% 적용시)는 약 4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은행의 경우 인수대금을 7조원으로 가정할 경우 투자여력 4조원을 쏟아붓고, 나머지 3조원을 동원하려면 은행법에 따라 10조원을 외부로부터 조달받아서 7조원은 자기자본에 충당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국민은행이 자기자본의 100%까지 허용되는 후순위채 발행이 가능하지만 이 방법만으로 전액을 충당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환주 국민은행 재무관리팀장은 "국민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이 12조원에 달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국민은행은 후순위채권 발행 한도에도 여유가 있는 데다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자기자본대비 투자한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반면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금융지주사로서 자기자본의 100%를 투자한도로 사용할 수 있어 국민은행에 비해선 오히려 자금조달이 용이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12월1일 출범한 하나금융지주는 현재 자기자본액이 약 1조원에 달하고 있지만, 모자라는 자금 수요 중 3조원 정도는 국민은행과 마찬가지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나머지 3조원은 신한금융지주가 조흥은행 인수당시 사용했던 상환우선주 발행을 할 경우 최대주주의 자격을 얻게 된다. 하지만 하나금융지주측은 국민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망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하나금융지주의 고위관계자는 “그동안 보람ㆍ서울은행 인수 경험에 비춰볼 때 M&A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시장 상황을 지켜 본 후 적정한 가격이 형성되고 인수 후 시너지효과에 대한 확신이 설 경우 인수전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2/09 17:1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