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도신당-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 창당 선언

우리당 배제 범여권 통합 공식화…의원수 34명…이달 하순께 교섭단체로 등록<br>통합후 이른 시일내 대선대책본부도 꾸리기로…우리당 "총선에만 신경쓴 일시적 동거" 비판

박상천(왼쪽) 민주당 대표와 김한길 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가 4일 오후 국회에서 합당선언식을 한 뒤 악수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중도개혁통합신당과 민주당이 4일 합당을 공식 선언하면서 사실상 열린우리당을 배제한 범여권 통합을 공식화했다. 또 신당 내 조직으로 대통령선거대책본부를 조기에 발족시켜 범여권 대선주자를 뽑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의 주도권 잡기에 나섰다. 김한길 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는 이날 박상천 민주당 대표와 국회에서 합당선언식을 갖고 양당이 신설합당방식으로 ‘중도통합민주당(이하 통합민주당)’을 창당하기로 발표했다. 기존 양당의 대표가 공동대표를 맡게 되고 이달 하순께 국회 교섭단체로 등록, 정식 출범한다. 통합민주당의 의석 수는 민주당 13석, 중도신당의 20석과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유선호 의원을 합쳐 34석이지만 우윤근 의원 등 열린우리당 탈당그룹이 추가 합류할 가능성이 있어 단기간에 40~50석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양당은 이날 합당선언에서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의 주체도 대상도 될 수 없다”며 “열린우리당의 틀을, 노무현의 프레임(frameㆍ틀)을 깨고 나와야 한다”며 범여권 통합의 전제조건을 밝혔다. 김 대표는 또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범여권 통합추진을 위해 최근 종교계 인사 등 시민사회진영의 주요 인사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겨냥해 “정치권 밖의 몇몇 인사를 앞세우고 그 뒤에 숨어서 기득권을 고수하겠다는 것”이라며 “대표적 반(反)통합 행태”라고 비난했다. 김 대표의 이날 발언은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이 통합의 방법으로 제안한 ‘제 정파 연석회의’를 사실상 거부한 것이며 열린우리당 탈당 및 해체를 촉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양당은 통합 후 이른 시일 안에 당 안팎의 인사들로 구성된 대통령선거대책본부를 꾸리기로 했다. 선거대책본부장은 통합민주당의 공동대표를 맡게 될 김 대표와 박 대표가 협의해 추천하고 최고위원회에서 선임하기로 했다. 김 대표는 이와 관련, “중도개혁세력의 주요 인사와 대선주자들을 모두 만나보겠다. 진지하게 대화하고 합의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혀 오픈프라이머리와 관련한 경선룰 논의를 본격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김영춘 열린우리당 최고위원은 “(민주당과 중도신당의) 상호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긴급 피난, 일시적 동거”라며 “대통합이라는 염불보다는 총선과 정치적 타산에 골몰한 잿밥에 신경을 쓴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측은 독자세력화를 당분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고 열린우리당 내 대선주자인 정동영ㆍ김근태 전 당의장도 탈당 결행 여부가 쉽지 않아 통합민주당이 주도하는 통합 및 오픈프라이머리 작업이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