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압구정 50층 재건축 富村명성 되찾는다

서울시 전략정비구역 지구단위 계획안 발표<br>일반분양 1489가구 등 1만1824가구 건립<br>소형 의무비율 적용 안받는 1대1 방식 택할듯<br>25%넘는 기부채납 비율 주민 반대가 걸림돌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과 청담동 일대 아파트들이 최고 50층의 초고층 아파트로 재건축돼 서울의 대표적인 부자촌의 명성을 되찾는다. 서울시는 14일 한강의 공공성 회복을 견인할 5개 전략정비구역 중 마지막으로 '압구정 전략정비구역의 지구단위계획' 안을 확정∙발표했다. 전략정비구역 중 성수 구역은 선도사업으로 정비구역 지정 절차를 완료했고 여의도∙이촌∙합정 구역은 주민설명회 등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가 진행 중이다. 계획에 따르면 압구정 전략정비구역은 3개 사업단위로 통합 개발이 추진되며 최고 50층, 평균 40층까지 대폭 완화돼 총 1만1,824가구가 들어선다. 이 중 조합원분은 1만335가구, 일분분양은 전용 85㎡ 이하 1,489가구로 계획했다. 이에 따라 강남권의 대표적 부촌인 이 일대 아파트 재건축이 본궤도에 오를지 여부가 주목된다. ◇어떻게 개발되나=이 일대 재건축은 ▦1구역 미성 1∙2차, 현대 9∙11∙12차 ▦2구역 현대 1~7차, 10∙13∙14차, 현대빌라트, 대림빌라트 ▦3구역 현대 8차, 한양 1~8차 등 3개 구역 단위로 통합 개발된다. 구역별로는 ▦1구역 3,712가구(용적률 338%) ▦2구역 4,536가구(〃 318%) ▦3구역 3,576가구(〃 348%)다. 공급면적 구성은 '1대1 재건축' 또는 '2대4대4(전용면적 60㎡ 이하 20%, 60~85㎡ 40%, 85㎡ 이상 40%) 재건축' 중에서 주민이 선택하도록 했다. 또 올림픽대로 지하화 또는 상부 데크 설치 등의 방법을 통해 3개의 공원도 조성된다. 공원의 총면적은 서울광장의 17배에 해당하는 24만4,000㎡에 달한다. ◇강남권 최고가 주거단지 될 듯=전문가들은 압구정 일대의 낡은 아파트들이 재건축될 경우 3.3㎡당 6,000만~7,000만원을 호가하는 서울 내에서도 손꼽히는 주거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권순형 J&K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재건축이 이뤄질 경우 도곡∙대치동으로 넘어갔던 강남 주거 중심이 다시 압구정동으로 옮겨올 것"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1대1 재건축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압구정 재건축 단지들의 대부분이 대형주택 위주로 구성된 만큼 기존 2대4대4 재건축 안을 택할 경우 주택면적을 줄여가야 하는 조합원도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1대1 재건축이란 기존 주택의 면적을 10% 범위(전용면적 기준) 내에서만 늘리는 방식으로 소형의무 비율을 적용 받지 않는다. ◇기부채납 비율이 여전히 걸림돌=문제는 재건축 이익환수를 위한 기부채납이다. 25.5%에 달하는 기부채납 비율에 대해 주민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 측은 "성수∙여의도지구의 기부채납 비율이 30~40%에 이르는 것과 비교해서는 낮은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 일대는 이미 학교 등의 기반시설이 충분한 상황"이라며 "전체의 4분의1에 해당하는 면적을 기부채납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정비계획안 발표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거래가 활발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최근 거래침체가 계속되고 있는데다 압구정지구 아파트가 대부분 16억~24억원에 달하는 고가 대형주택 위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일반투자자의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근 대일공인의 한 관계자는 "거래침체가 이어지며 연초에 비해 가구당 3,000만~4,000만원가량 가격이 떨어졌다"며 "주민들의 동의 여부가 불투명한데다 재건축이 완료되기까지 10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시장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