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85% "경력직 채용때 인성보다 능력"

국내 중소기업은 경력사원 채용시 충성도와 성실성 등 '인성 좋은 경력직'보다 전문성과 숙련도가 높은 '능력 있는 경력직'을 더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견전문인력 고용지원센터가 올해 채용계획이 있는 중소기업 181곳을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의 중견인력 채용인식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중견인력(산업체 10년 이상 근무경력자)을 뽑을 때 전문성ㆍ숙련도 등 '역량측면(85.1%)'을 조직충성도나 성실성과 같은 '인성측면(6.5%)'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견인력 채용의 주된 이유로는 '숙련된 전문기술과 업무경험 활용(44.5%)' '업무숙달에 드는 시간ㆍ비용 절감(34.1%)' '특수직무 노하우(3.6%)' 등 전문성과 숙련도 같은 '역량측면'은 응답업체 10곳 중 8곳 이상(85.1%)에 달한 반면 '낮은 이직률과 높은 조직충성도ㆍ성실성' 등 '인성측면'은 6.5%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연구ㆍ기술직(40.9%)' '생산ㆍ품질관리직(17.7%)' 등 기술개발 및 품질관련 전문직종에 대한 채용수요(58.6%)가 사무관리직(25.1%)의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한편 중소기업들은 경력직 채용시 30대(56.7%)와 40대(26.4%) 등 젊은층을 선호하는 반면 베이비부머(55~63년생)인 50대의 채용수요는 9.0%에 그쳤다. 중소기업들이 채용을 원하는 중견인력 희망직급의 경우 역시 과장ㆍ차장급 등 중간관리자(63.1%)가 부장ㆍ임원 등 고위관리직(22.1%)보다 3배가량 높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업무지시가 쉽고 노동생산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실무형 중간관리자에 대한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중견인력 채용기피 사유로는 '임금부담(27.2%)'보다 '연령부담(61.6%)'이 2배 이상 높게 응답했다. 실제로 중견인력 채용시 지급 가능한 임금수준 역시 4,000만원 이하가 응답업체의 62.4%를 차지해 지난해 고용센터가 조사한 베이비부머의 기대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나이가 많아 업무지시에 곤란을 느끼거나 청년층에 비해 낮은 노동생산성과 건강상 문제 발생 우려가 중견인력 채용을 꺼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중소기업들은 중견인력들의 재취업 성공요소로 '나이와 경력을 초월한 원활한 의사소통 태도(30.2%)' '급여수준ㆍ근무여건을 중소기업 눈높이로 재조정(28%)' '업무적 강점 보완(14.1%)' '기업문화 적응(13.2%)' 등을 꼽았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