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업 균형발전위해 입찰제도 개선 시급"

건설업계의 균형발전을 위해서 경쟁력 있는 중소건설업체의 수주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입찰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9일 대한건설협회 주최로 열린 '건설산업 발전을 위한 워크숍'에서 윤영선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대중소 건설기업 균형발전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윤 연구위원에 따르면 현재 공공공사 중 턴키.대안입찰공사는 초대형 업체의 주된 영역으로 정착했으며 최저가 낙찰제 공사(500억원 이상 PQ공사)는 50위권 이내중견기업들이 주로 수주하는 등 건설시장이 분할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발주된 턴키공사의 경우 상위 6개사가 금액기준으로 전체의 57.5%를 차지하는 등 대형업체 편중이 심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몇몇 초대형 업체를 제외한 대부분 업체들은 수익성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고 윤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아울러 민간부문에서는 브랜드 경쟁력이 우월한 초대형 업체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고 민자사업에서는 BTL(Build Transfer Lease:민간업체가 공공시설을 지은뒤 정부가 이를 임대한 수입으로 시설투자비 회수)방식 도입 등으로 대형 및 중견업체의 시장참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건설산업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우려된다고 윤 연구위원은 말했다. 윤 연구위원은 "수주 편중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입찰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며"중소업체라도 경쟁력 있는 업체라면 고난도의 대형 턴키공사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도로, 철도, 지하철 등 공구별 구분이 가능한 공사는 분할 발주방식을 확대하고 계량화가 곤란해 주관적 평가에 따라 좌우되는 공사는 턴키입찰을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BTL 사업으로 대폭 전환을 추진중인 교육 및 복지부문 사업은 입찰시관련 지방.지역 중소 건설업체를 배려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