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집중제' 채택 시끌

좌파식 조직전략…"하필 이런때" 내부 논란 거세

지난 80년대 운동권에서 풍미했던 조직 원칙인 ‘민주집중제’가 집권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공식 운영전략으로 도입된다. 이는 당내 386의원들의 정치적 입김이 그만큼 강화되고 있다는 반증이지만 원래 사회주의 정당의 정치이론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정체성 논란을 불러 일으킬 전망이다. 우리당 신기남 의장은 23일 향후 당 운영계획과 관련, “성숙해진 개혁세력으로 우리당의 정체성과 대응방안을 압축했다”면서 “당을 민주집중제로 운영해 ‘108 번뇌’라는 말이 다시는 나오지않게 하겠다”고 밝혔다. 신 의장은 민주집중제에 대해 “의원들이나 당원들의 다양한 의견이나 주장은 얼마든지 보장하고 백가쟁명과 백화제방을 오히려 장려한다”면서도 “일단 당론이 결정되고 의견이 모아지면 책임감과 속도감 있게 이를 집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집중제란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를 줄인 말로 원래 공산주의에 의해 조직된 정당이나 사회주의 국가가 조직원칙으로 삼는 것이다. 러시아 혁명을 일으켰던 레닌은 ‘소수는 다수에 복종한다’는 구호를 내걸고 민주집중제를 활용했지만 결국 당 독재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중국 공산당도 민주집중제를 기본원칙으로 삼아 당을 운영하고 있다. 당내 한 관계자는 “당을 제대로 통제해야 한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요즘 같은 미묘한 시점에 하필이면 출처도 불분명하고 좌파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조직원리를 내세우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