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경찰에 따르면 조계사 경내에 박태만 철도노조 수석부위원장과 3명의 일반 노조원 등 4명의 철도노조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조계사가 종교시설이어서 내부로는 들어가지 못하고 250명의 경찰을 투입, 조계사를 드나드는 사람들을 검문검색하고 있다.
백성곤 철도노조 홍보팀장은 이날 서울 용산구 한강로 철도회관 6층에서 "경찰이 민주노총까지 침탈하는 상황에서 종교계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며 사전 양해를 구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했다.
조계사 관계자는 "오늘은 휴일이라 스님들이 모두 지역 사찰에 가 있는 관계로 내일 서울로 올라와야 조계사 차원의 입장 발표 등을 위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주교나 조계종은 수배자의 은신을 암묵적으로 허용해왔으며 '성역'인 종교시설의 특수성을 들어 공권력 행사나 폭력행위 발생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해왔다.
명동성당은 1980년대 재야·노동단체들의 농성장으로 '민주화의 성지' 또는 '최후의 보루'라고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민주화 운동보다는 노조 파업이 잦아지고 시설 내 농성 등이 장기화하면서 교단 측이 강경한 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2000년 12월 명동성당은 한국통신 노조원의 농성으로 신자들의 불편이 가중되자 노조 측에 퇴거를 요구하고 경찰에 시설보호를 요청했다. 2002년 3월에는 경찰이 조계사 법당까지 들어와 농성 중이던 발전노조원을 체포해 신도들이 반발, 서울경찰청장이 사과하는 일이 있었다. 하지만 나중에 총무원 측에서 경찰투입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