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근혜 대통령 귀국으로 금융 공공기관장 인선에 ‘속도’

지지부진했던 금융 공공기관장 인선이 이번 주부터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와 브루나이 순방 일정을 마치고 13일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에게 장기간 공백 상태인 공공기관장 자리를 채우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청와대는 이번 주부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기술보증기금, 한국예탁결제원, 코스콤 등 금융 공공기관 후임 사장 인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임기가 만료되는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후임으로는 금융위원회 출신 고위공무원 내정설이 나오고 있다. 또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으로는 업계 출신인 모 금융지주 현직 사장이 거론되고 있다.

예탁결제원 사장에는 금융위원회 출신 고위공무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코스콤 사장에는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공무원이 유력한 가운데 일부 전직 국회의원들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코스콤 노조는 지난 11일 청와대를 항의 방문해 우주하 사장을 해임하고 관료 출신이 아닌 신임 사장을 선임하라는 요구서를 전달했다.

관련기사



노조는 “청와대가 사임한 사장을 그대로 두고 신임 사장 선임을 120여일 미뤄 공공기관 경영이 파행됐다”며 “사장 선임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면 우 사장이 임기를 모두 채울 가능성까지 생겼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우 사장 해임과 고교 동기동창 자녀 특혜 채용 문제에 대한 수사까지 요구하면서 사장 교체를 압박했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도 “기관장이 사표를 제출하고도 한달 이상 업무를 보는 상황이 조직에 나쁜 선례를 남기고 있다”며 “중요한 의사결정이 유보되고 있는데 인선 절차가 정상적으로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관들과 임원추천위 구성 일정을 잡으려고 협의를 하고 있다”며 “사표를 수리하지 않은 것은 새 사장이 선임되기 전까지 경영 공백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우주하 코스콤 사장은 지난 6월 3일, 김정국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지난 8월 30일 사의를 표명했지만, 현재까지 업무를 계속 보고 있다. 김경동 한국예탁결제원 사장도 지난 9월 13일 사의를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