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전자 '담합조사' 본격대응

美현지법인 차원서 내달까지 자료제출키로 >>관련기사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반도체 등 국내 D램 업체들이 미 법무부의 가격 담합 조사와 관련, 내달까지 관련 자료를 제출키로 하는 등 본격 대응에 들어갔다. 또 이번 조사가 앞으로 D램 시장의 수급과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정밀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삼성전자의 법무담당 고위 관계자는 20일 "미 법무부로부터 (가격 담합과 관련해) 정보와 자료 요청을 받고 미국 현지법인(SSI) 차원에서 제출 서류의 범위와 종류에 대해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료 제출 기간은 통상 한달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 내달까지는 법무부의 담합 조사와 관련한 자료 제출을 완료하는 등 1차 대응을 마무리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다른 업체와 연락할 필요는 없다"며 독자 대응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번 조사는 SSI의 법무담당 변호사(1명)가 맡게 되며, 삼성전자 본사는 보조 업무만 맡을 방침이다. 미국 법무부의 가격담합 조사와 관련, 하이닉스도 미 현지법인(HAS)의 파하드 상무와 법무담당 변호사(제리 올슨)를 통해 소환장을 접수하고 본격적인 대응 작업에 들어갔다. 파하드상무는 20일 본사에 보낸 조사 관련 서한에서 "현지법인은 어떠한 위규 행위도 한 적이 없다"며 당당하게 조사에 응할 것임을 밝혀왔다고 하이닉스 관계자가 전했다. 국내 D램 업계는 특히 이번 조사가 빨라야 1~2년후에나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고, 앞으로 중장기 D램 시장 동향에 대한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장기 조사에 대비해 수급 동향 등 정확한 시장 움직임을 파악해 앞으로 대응전략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