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늘의 경제용어] 하이브리드(Hybrid) 채권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갖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가증권. 확정 배당 등 채권적 성격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변제순위도 보통주보다 앞선다.또 주식처럼 거래도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 매력적인 금융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후순위채권과는 달리 자기자본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자본 확충을 서두르는 은행으로서도 매력적인 자금조달수단이다. 은행들이 하이브리드 채권발행을 늘리는 것은 최근의 금융시장 환경 변화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억제를 위해 은행의 건전성 강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채권을 이용하면 유상증자를 하지 않고도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일 수 있다. 외환은행이 최근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에 착수한 데 이어 하나ㆍ조흥은행 등이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을 검토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